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린피스 “한국 원전 밀집도 세계 최고”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국제 환경보호 단체인 그린피스가 신고리 원전 5, 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본격 활동을 시작한 가운데 “한국의 원전 밀집도는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추가 건설은 미친 짓”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장다울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선임 캠페이너는 최근 방송된 ‘김어준의 파파이스’에 출연해 “전세계 200여개 국가 중 30개국에 원전이 가동되고 있다”며 “원전 99개가 미국, 35개가 러시아에 있는데 미국, 러시아에 비해 영토가 작은 한국에 24개가 있다. 한국은 영토 대비 원전비율이 세계 최고”라며 이렇게 밝혔다.

장다울 캠페이너는 “원전이 있는 세계 30개 국가 중 우리나라는 원전 수 순위에서 세계 6위”라며 “그러나 6위인 한국의 원전 용량(22.5GW)이 하위 15개국(23.4GW)과 비슷하다”며 “그런데 이명박 정부는 한국에 추가로 11개를 더 지으려고 했다”고 말을 이었다.


장다울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선임 캠페이너가 한국 원전의 실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겨레TV ‘김어준의 파파이스’ 캡처]

[사진=한겨레TV ‘김어준의 파파이스’ 캡처]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11개 중 현재 짓고 있는 5기를 제외한 원전 건설 계획을 백지화한 상태다. 또한 지난해 공사를 시작한 신고리 원전 5, 6호기에 대해서는 공론화위원회를 꾸려 건설을 지속할 지, 중단할 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장 캠페이너는 원전의 위험성을 설명하기 위해 원전사고를 겪은 구 소련의 체르노빌 원전사고를 예로 들었다.

▶작년 체르노빌 원전사고 덮개 제작에 2조8000억원=그는 “현재 우크라이나 지역에 있는 체르노빌의 원전 사고는 31년 전에 일어났지만,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라며 “사고가 난 원전을 콘크리트로 덮었는데 콘크리트가 노후돼 지난해 체르노빌 사고 30주년을 맞아 콘크리트 석관을 철관으로 덮는 작업이 진행됐다”고 밝혔다.

이 작업은 엄청난 규모의 철관을 체르노빌 외부에서 제작해 체르노빌로 이동시켜 문제의 지역을 덮어씌우는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장 캠페이너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지역을 덮은 철관은 인류가 만든 움직이는 구조물 중 역대 최대 규모”라면서 “구조물은 미국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보다 큰 높이 110m이고, 무게는 에펠탑의 3배다. 구조물을 옮기는데 4일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그는 “31년전에 일어난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철관을 만들고 옮기는데 2조8000억원이 들었다”며 상황이 이런데도 원전이 저렴한 것이냐고 되물었다.

그는 “지금도 체르노빌 사고지역 반경 30㎞ 반경은 사람이 살지 못하는 거주금지구역”이라며 “방사능 수치가 여전히 높다”고 덧붙였다.

장다울 캠페이너는 이어 지난 2011년 일본에서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참상도 전했다.

그는 “사고가 발생한 2011년 일본에 있는 유엔기구에서 일하고 있었는데 후쿠시마로부터 400㎞ 떨어진 곳이었는데도 큰 진동이 길게 이어지는 경험을 했다”며 “다음날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접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원자력 발전업계에 종사하시는 아버지가 일본 출장을 다녀오신 뒤 ‘일본은 원자력 안전관리 면에서 세계 최고’라는 말을 하셨었다”며 “그런데 그렇게 안전하다는 일본의 원자력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했다는 사실이 큰 충격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에서 한국으로 돌아온 계기가 있었다”며 “후쿠시마에 평생 유기농 양배추 농사를 한 농부가 있었는데 후쿠시마 사고로 그 일대 양배추와 땅이 모두 핵폐기물이 되자 그가 자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평생을 유기농 농사를 했다는 자부심을 안고 살아온 사람을 죽음으로 내모는 원전 기술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장 캠페이너는 “후쿠시마는 6개 원전 중 3곳이 작동을 멈췄고, 원자로가 냉각이 안 돼 ‘멜트다운’ 상태가 됐다며 다행히 방사능의 80%는 바다로 배출됐지만 후쿠시마 반경 30㎞ 인근까지 방사능이 퍼졌다”며 “후쿠시마에서 약 40㎞ 떨어진 이타테라는 지역은 방사능에 오염된 구름이 지나가 오염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후쿠시마 주변 사람들은 먼저 대피했지만, 이타테 사람들은 사고 한달 반이 지나서야 대피해 오히려 피해가 컸다”며 “일본 정부는 알면서 이 사람들을 대피시키지 않았다. 당시 그린피스가 대피시키라고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장 캠페이너는 후쿠시마의 심각한 방사능 오염실태도 고발했다.

그는 “후쿠시마 방사능 모니터링을 위해 3번 정도 현지에 다녀왔다”며 “일본 정부는 엄청난 돈을 들여 후쿠시마 일대에 방사능 제염작업을 실시했는데 집과 도로 20m 반경의 흙을 걷어내 쌓아놨다. 쌓아놓은 흙 또한 중저준위의 방사성 폐기물인데 그냥 노지에 쌓아뒀다”며 해당 사진을 보여줬다.

이어 “일본 정부는 해당 지역의 흙을 걷어낸 뒤 방사능 체크하고 ‘수치가 낮다’며 다시 그 일대에 오지 않는다”며 “그러나 건드리지 못한 산림지역에 쌓인 방사성 물질은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면 다시 지역에 퍼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식으로 방사능 제염 작업을 한 뒤 노변에 흙을 쌓아놓은 장소가 후쿠시마 일대에 14만6000여곳에 이른다”며 “후쿠시마현의 70% 정도는 산림지역인데 그 지역은 하나도 손을 대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는 “방사능의 반감기는 방사능의 세기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시기를 말한다”며 “후쿠시마 사고로 현재 남아 있는 방사능 대부분은 세슘 137인데 반감기가 30년이다. 반감기가 10번 지나려면 300년 후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에 원전 10기…세계 역사상 전무후무할 것”=장다울 캠페이너는 “강조하고 싶은 것은 한 부지에 여러 개의 원전이 있는 것의 위험성”이라며 “후쿠시마에는 사고 때 총 6기의 원전이 있었다”며 “현재 후쿠시마 원전의 사고 실태는 아무도 알 수 없는 상태다. 로봇을 보내도 작동을 멈출 정도로 심각하다. 그런데 일본 정부는 수습됐다고 얘기한다”고 말했다.

그는 “후쿠시마에 원전 6기가 있는 건 특수한 상황”이라며 “전 세계 30개국에 원전 447기가 있는데 한 부지에 보통 1기나 2기가 있다. 평균 한 부지에는 2.4기가 있는데 6기의 원전이 몰려 있는 곳은 11곳이다. 그런데 한국의 원전 부지 4곳은 모두 한 곳에 6기가 넘어 11곳에 모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그는 “11곳 중 한 곳은 일본인데 현재 가동정지 중이라 총 10곳의 리스트를 용량 기준으로 보면 신고리 5, 6호기까지 추가되었을 때 한국 원전이 1, 3, 4, 7위에 해당된다”며 “고리 원전이 9기로 1위, 6기인 한울-한빛-월성 원전이 각각 3, 4, 7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장 캠페이너는 “부산에 고리 1~4호기, 신고리 1~2호기 등 6기가 있고 울산에 신고리 3호기가 가동중이며 신고리 4호기가 완공돼 곧 가동에 들어가고 여기에다 2기(신고리 5~6호기)를 더 짓겠다는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세계에서 전무후무하게 한 지역에 원전 10기가 들어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문재인 정부들어 고리 1호기는 영구 폐쇄된 상태다.

그는 “고리와 신고리는 3㎞ 거리에 불과하다”며 “그런데 주변 인구는 380만명에 달한다. (세월호 사건에서) 300명도 구하지 못했는데 사고가 나면 380만명을 구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건 말도 안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2위인 캐나다 브루스 지역은 30㎞ 반경에 3만명, 후쿠시마는 30㎞ 반경에 17만명이 사는 것과 대비된다”며 “후쿠시마 사고로 피해 금액이 200조원에 달하고 앞으로 600조원이 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며 “이렇게 밀집해서 지으면 비용도 적게 든다. 토지 보상, 인명 피해, 인프라 구축을 안 해도 되기 때문이다. 몰아지으면 싸진다. 이게 원전 경제성의 숨어 있는 허구”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고리 및 신고리 원전 건설 상황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원전을 사람이 가장 많이 사는 곳에 짓고, 앞으로 2개를 더 짓겠다는 것”이라며 “이건 한 마디로 미친 짓”이라고 말했다.

장 캠페이너는 “사람 피해 뿐만이 아니다. 경제적으로도 큰 피해가 온다”며 “고리원전 반경 30㎞ 내외에는 우리나라 최대 울산석유화학단지, 단일 공장으로 최대 규모인 현대자동차 부지, 세계 물동량 6위의 부산항,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가 몰려 있다는 해운대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에서도 인정하는 코드를 활용해서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고리 4호기 내 핵폐기물이 저장된 수조에 화재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최악의 상황을 상정하면 국토의 절반이 피난구역이 되고 대피인구가 2430만명에 달한다. 물론 최악의 시나리오지만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원전에 대한 공론화가 필요하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원전이 밀집해 있는데 우리나라는 계속 짓는다”며 “계속 짓는 이유 중 하나는 계속 지으면서 이득을 얻는 집단의 카르텔이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