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디젤, 본고장 독일서도 찬밥신세 전락
- 메르켈 총리 디젤차 ‘단계적 금지’ 언급
- 독일 소비자 디젤 구매의사 2년새 13%P↓
- 담합 의혹 해결책도 여론비난 뭇매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폴크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 포르쉐 등 세계적인 자동차 회사들이 몰려 있는 독일은 디젤 자동차 강국이다.

폭발적인 가속력과 뛰어난 연비를 모두 충족시키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독일 자동차업체들은 세계 자동차시장에 디젤 자동차 저변을 확대시켜 왔다. 


하지만 2년전 폴크스바겐 그룹 디젤게이트에 이어 최근 주요 업체들이 디젤 배출가스 담합에 가담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이들이 그동안 과시했던 기술력에 전 세계적으로 불신의 시선이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이 같은 논란이 확대되자 독일 당국과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디젤에 대한 비관론이 점점 확산되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다음달 총선에 대비한 첫 유세에서 일련의 디젤차 이슈가 ‘심각한 실수’라며 이로 인해 독일차가 신뢰를 잃었다고 지적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언론사 수퍼일루(Superillu)와의 인터뷰에서도 “다른 유럽국가들의 디젤차 판매금지 조치가 올바른 접근이며, 독일도 디젤차 판매를 단계적으로 금지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해 높은 주목을 끌었다.

이는 2015년 폴크스바겐 그룹 디젤 배출가스 조작 사건에도 독일 정부는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지 않았지만 최근 담합 의혹 이후 독일 정부도 디젤에 대한 정책 입장이 ‘퇴진’으로 굳어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래프 출처=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

현지 시장에서도 디젤차 수요가 점점 줄고 있는 추세다. 유럽 자동차제조협회(ACEA)에 따르면 EU 15개국에서 판매된 신차 중 디젤차 비중은 2015년 52.1%에서 2016년 49.9%로 하락했다. 2009년 46.1% 이후 유럽 디젤 신차 비중이 50% 아래로 떨어진 것은 7년 만에 처음이다.

독일 정유업체 아랄(Aral)이 실시한 신차 구매 트렌드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7년 디젤차를 구매하겠다는 소비자는 2년전보다 13%포인트 하락한 18%로 줄었다.

반면 가솔린차를 구매하겠다는 소비자는 52%로 10%포인트 증가했다. 하이브리드카는 15%로 6%포인트 늘어났다.

업계에서는 독일 업체들의 대응방식이 소비자 불신을 더욱 키웠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EU집행위원회가 5개 독일 완성차업체들의 장기간 배출가스 처리시스템 가격 담합 의혹 관련 조사 입장을 밝힌 뒤, 정부와 완성차업체들이 모여 ‘디젤 포럼 협약’을 체결했으나 협약 내용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업체들은 독일에서 판매한 디젤차 총 530만대에 자발적 무상수리를 실시해 엔진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한다고 밝혔지만, ‘조작’ 행위를 단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해결하려 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국내서도 디젤 자동차 인기가 눈에 띄게 식고 있다.

2015년 수입차시장에서 비중이 연간 70%에 이르던 디젤차는 지난달 월간 기준 40% 초반까지 떨어졌다. 반면 가솔린 차량의 판매는 같은 기간 20%포인트 늘어난 45%에 달했다. 하이브리드 차량 역시 처음으로 올 6월 10%를 넘어섰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