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한 내 마약 거래 심각 “엘리트층도 포함”
-日 매체 보도 “북중 접경은 물론 도시에서도 확산”
-北 국가기관 강연 “마약 늘면 조국 무너질 수도” 위기감


[헤럴드경제=유은수 기자] 북한에서 마약류 거래가 북중 접경 지역은 물론 도시에서도 이뤄지고 있고, 관련자들에 엘리트층이 포함됐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일본 마이니치신문이 23일 보도했다.

신문은 이날 북한의 비밀경찰조직인 국가보위성이 작년 여름 평안남도 A 시에서 개최한 강연기록을 인용하며 이렇게 전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로 북한 경제가 압박을 받는 상화에서 반사회적인 행위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 마이니치신문은 23일 북한 국가기관 강연 기록을 인용해 북한에서 마약류 거래가 엘리트층을 포함해 전사회적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헤럴드경제DB]

국가보위성 강연 기록에 따르면 작년 5월 ‘70일 전투’ 기간 A시에서 마약밀매로 적발된 사람은 200명이고, 주변 지역까지 합치면 그 수가 500명에 달한다. 특히 마약류 제조에서 도매 판매까지 관계된 핵심 인물은 “당과 사법기관의 책임 있는 지위에 있는 가족과 친척이 많은 인물”이라고 소개됐다. 북한 내 엘리트층도 마역 거래에 연루됐다는 의미다.

북한에서 마약류는 중국식 명칭인 ‘빙두(氷毒)’로 불리며 북중 접격 지역에 만연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번에 공개된 강연 기록에는 마약이 도시에서도 권해지고 있다고 적혀 있다.

강연 기록은 마약이 ‘21세기 명약’, ‘현대식 감기약’으로 통용된다며 “24시간 공부할 수 있다”는 이유로 대학 수험생들도 마약을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음식점 중에서는 술ㆍ안주와 함께 마약을 제공해 하루에 한 사람당 50만원(한화 약 7만3400원)의 돈을 받는 경우도 있다는 지적도 실렸다. 북한 당국은 마약을 판 해당 음식점의 여주인을 총살했다고 강연 기록은 밝혔다.

신문은 북한에서 마약 거래가 1990년대 외화 벌이 수단으로 행해졌는데, 북중 접경에서 단속이 강화되며 마약의 북한 내 밀매가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강연 기록은 또 “‘더럽게 번 돈을 깨끗하게 쓰자’는 이야기가 (주민들 사이에서) 무턱대고 사용되고 있다”며 “이런 행위는 전 원수님(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의도에 맞지 않다. 당의 사상과 맞지 않은 말을 사용하는 자는 반드시 역적의 길로 들어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지금처럼 (마약 거래가) 늘어나면 조국이라는 거대한 집이 무너진다”고 위기감을 드러내며 “마약류의 제조와 판매에 물이 들었어도 당 지도부에 헌납하기 위해 생산기기와 제품을 가지고 자수하면 체포, 구속하지 않고 죄를 백지화해주겠다”고 주민들을 설득하기도 했다.

신문은 범죄자가 증가하면 그 가운데 반체제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 당국이 마약 거래 급증에 강한 경계감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y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