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한령 등 경제보복 말도 못꺼낸 康 장관
-한미ㆍ한중서 사드보복 말도 못꺼낸 康장관…주도력 발휘 못해
-美 소식통 “틸러슨ㆍ손튼, 康 장관에 대해 별다른 언급안해”


[헤럴드경제(필리핀 마닐라)=문재연 기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필리핀 마닐라에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 계기로 치룬 양자ㆍ다자외교 데뷔전에서 강대국 장관들의 세팅한 어젠다에 끌려다니는 모습을 보였다.

강경화 외교장관은 지난 6일 한미ㆍ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주한미군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경제적 보복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는가 하면, 한미 외교현안보다는 아세안(ASEANㆍ동남아국가연합) 대북규탄성명 성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데 시간을 상당부분 할애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경화 외교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6일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했다. 이날 회담 내내 왕 부장은 굳은 표정을 지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연합뉴스]

왕이(王毅) 외교부장은 강 장관과 첫 상견례 겸 치러지는 정식 외교장관 회담 내내 담론을 주도했다. 왕 부장은 공개 모두발언에서부터 “사드 발사대 4기 추가배치는 개선되는 양국관계에 찬물을 끼얹는 결정”이라면서 분위기를 급속도로 냉각시켰다. 비공개 회담에서도 왕 부장은 사드문제를 집요하게 물고 늘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왕 부장은 회담 뒤 기다리던 기자들에게 “강 장관에게 ‘사드가 ICBM을 막을 수 있는가’ ‘왜 이렇게 빨리 사드를 배치했는가’ ‘미국 미사일 방어체계(MD)에 가담하는 것이 한국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생각하는가’ ‘한국민들이 이를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 등 의문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이 안보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을 이해하지만, 한국의 관심사가 중국의 불안을 야기해서는 안 된다”며 “사드 문제는 양국 관계의 정상적 발전에 영향을 준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강 장관은 공개모두발언에서 사드배치가 북한의 추가적 미사일 도발로 고조됐고, 국민 생명을 지키기 위한 방어차원에서 이뤄졌으며, 미국 MD와는 무관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사드 배치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하지만 사드 보복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강 장관은 비공개 회담에서도 사드보복에 대해 언급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시간이 부족해서 사드보복 철회와 관련한 언급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평소 사드보복 철회에 신경을 썼다면 공개모두발언이나 비공개 회담에서 언급할 수 있었던 문제였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부 장관과의 회담에서도 강 장관은 담론 ‘세팅자’가 아니라 ‘리스너’(청취자)였다.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 및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정례화를 조기에 추진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지만, 이는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이미 확인된 사안이었다. 외교부 당국자는 강 장관이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과 남북대화가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 수 있는 보완적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설명하고 틸러슨 장관이 이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당국자는 “필요한 기간동안의 북한의 도발 중단이 없고 최소한의 신뢰가 있어야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된다는 게 틸러슨 장관의 인식”이라며 대화의 조건을 둘러싸고 한미 간 이견이 여전히 존재함을 내비쳤다. 지난 7월 4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 시험발사가 이뤄진 가운데 이뤄진 문 대통령의 ‘남북대화’ 제안을 틸러슨 장관이 ‘지지’(support)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대목이다. 미국 소식통은 틸러슨 장관과 수잔 손튼 미 국무부 차관보대행이 미-아세안 외교장관 회담 및 한미 외교장관 회담 이후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한국에 대한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시점이나 EDSCG 정례화 추진을 위한 논의 시점 등에 대해서도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