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북 적십자회담도 무산…통일부 “이산가족 문제 해결 노력”
-1일 회담 제안했지만 北 무응답
-北 내년 인구조사에 600만$ 지원 보류설 “사실 아냐”

[헤럴드경제=유은수 기자] 북한이 군사당국회담에 이어 적십자회담에도 1일까지 응답하지 않았다. 우리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 이행 조치로 시행한 대화 제안에 북한이 잇따라 무반응으로 일관한 것이다. 통일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산가족 문제 해결과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해 다각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지난달 17일 정부는 적십자회담과 군사당국회담을 북한에 제안했지만, 북한은 현재까지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는 당시 군사분계선상 적대 행위 중지를 위한 군사당국회담을 지난달 21일, 이산가족 상봉행사 개최 논의를 위한 적십자회담을 8월 1일에 열자고 각각 제안했다.

2015년 강원도 고성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열린 제20차 남북이산가족상봉 작별상봉에서 남측 딸 이정숙 씨가 북측 아버지 리흥종 씨와 작별을 아쉬워하며 아버지의 눈물을 닦아주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관계자는 “북한은 우리 제안에 호응해 나오기를 촉구하는 바이며, 정부는 앞으로도 이산가족 문제 등 인도적 문제와 군사적 긴장 완화 문제 해결을 위한 다각적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며 정부가 북한의 내년 인구총조사를 위해 유엔인구기금(UNFPA)을 통해 600만 달러(약 67억 원)를 지원하는 방안을 보류했다는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관계자는 “UNFPA에서 지원 요청을 했고 그에 대해 연초부터 계속 협의를 해왔다. 국내 상황이나 새 정부 출범 상황으로 인해 진전이 많이 안됐지만 지금은 많이 해소돼 협의를 해나가고 있다”며 연기 결정이라는 보도를 일축했다.

그러면서 “국제기구에 의한 북한 인구조사 사업은 (북한 인구에 대한) 통계를 얻는 것이고 2008년 조사결과도 우리가 많이 활용한 바 있다”면서 “우리 측 의견이 많이 반영되도록 (UNFPA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해 지원을 그대로 진행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y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