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국민의당, ‘창당’수준 쇄신해야
날조, 조작, 모략…. 선거철이 되면 정치권에서 상대를 비난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말들이다.

하지만 국민들은 지난 한 달 동안 정치인들의 이같은 과장된 ‘수사’가 ‘수사’가 아닐 수도 있음을 두 눈으로 확인해야 했다. ‘문준용 취업특혜 의혹 증거조작 사건’ 얘기다.

대선을 사흘 앞두고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 이름으로 공개된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 준용씨의 동료라는 사람의 음성은 당원 이유미 씨 동생의 목소리였고, 대화 내용도 각본에 따라 짜맞춘 것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나흘전 이른바 ‘기자회견’을 진행한 김성호 공명선거추진단 수석부단장과 김인원 부단장을 고발하면서 시작된 이 사건은 결국 증거를 조작한 당원 이유미 씨와 증거조작에 관여한 그의 남동생을 비롯, 이준서 전 최고위원, 김성호 공명선거추진단 수석부단장, 김인원 부단장 등이 검증을 소흘히 한 혐의로 기소되면서 일단락됐다. 공명선거추진단장인 이용주 의원과, 안철수, 박지원 전 대표에 대해선 검찰이 검증과 조작에 관여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결론내면서 ‘수뇌부’들은 비켜서게 됐다. 최악의 상황은 면한 셈이다.

하지만 지난 한달동안 국민의당은 정당의 존재 근거가 되는 국민들의 신뢰를 완전히 잃은 듯 하다. 선거 직전 판세를 바꿔놓을 ‘한방’으로 꺼내 든 기자회견이 선거의 책임을 지고 있는 선대위원장과 총괄선대본부장에 보고되지 않는 걸 보고서 과연 국민의 혈세가 투입되는 ‘공당’인가 의아해 했다. 국민의당이 자체 진상조사단을 만들고 조직적인 관여를 하지 않았다고 항변해도, 추경과 인사청문회 정국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내도 지지율은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

국민의당은 검찰이 수사결과를 발표한 지난달 31일 다시 대국민사과를 했다. 박주선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은 “국민의당은 한 당원의 불법행위와 이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한 잘못이 결코 책임을 피할 수 없는 일임을 철저히 반성하고 있으며 당 체질을 개선하는 계기로 삼아 국민 앞에 다시 서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검찰의 발표로 한숨 놓게 된 국민의당 앞에 놓인 과제는 오직 하나다. 신뢰를 어떻게 회복할 것인지다. 국민의당은 붕괴된 당을 세운다는 마음으로 다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조작사건은 조금만 지나면 잊혀질 것’이라는 안일한 생각은 존폐위기에 놓인 국민의당의 명을 재촉할 것이다. 

cook@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