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북대화 제안에…美·日 ‘시큰둥’
美 “대화조건 충족 아직 멀었다”
日 “지금은 압박 가중할 때”

우리 정부가 북한에 군사 회담과 적십자 회담을 동시에 제의한 것과 관련해 미국은 시기가 적절하지 않다는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일본도 “지금은 대화가 아닌 압박을 가해야할 때”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4면

우리 정부가 ‘대북 제재와 압박’과 함께 대화를 통해 북한을 비핵화 대화에 끌어내려는 ‘투트랙’접근 노력을 기울이는 데 대해, 미국과 일본이 다른 목소리를 냄에 따라 한미일 차원의 대북공조에 균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17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반응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한국 정부에서 나온 말들이니 한국에 물어봐달라”면서도 “그러나 대통령은 (대화를 위해) 충족해야 하는 어떤 조건들에 대해 명확히 해왔고, 이 조건들은 지금 우리가 있는 위치와는 분명히 멀리 떨어져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비핵화가 대화의 출발점이라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는 미국이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실험 이후 북한과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북한에 ‘민ㆍ군’투트랙 회담을 제의한 데 대한 당혹감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카티나 애덤스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도 이날 ICBM 발사 직후 우리 정부가 남북 회담을 제의한 것이 시기적으로 적절하냐는 질문에 “한국 정부에 문의하도록 하라”고 답변했다. 게리 로스 미 국방부 대변인 역시 “한국 정부에 문의해달라”고 했다.

일본도 대화보다는 압박을 강조했다. 미국을 방문중인 마루야마 노리오 일본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뉴욕에서 기자들에게 “우선순위는 제재를 통해 평양에 대한 압박을 가중하는 것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진지한 대화를 위해 압박을 가중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AFP통신은 마루야마 대변인의 언급을 전하면서 일본이 한국 정부의 대북 회담제의의 의미를 깎아내렸다고 평가했다.

신대원ㆍ문재연ㆍ유은수 기자/shindw@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