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 영상자료 세계 최초 공개
-서울시ㆍ서울대 인권센터 발굴 자료
- 전쟁 포로로 잡힌 위안부 모습 담겨
-“외교ㆍ유네스코 등재 등에 활용할 것”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의 모습이 담긴 18초 흑백 영상이 나왔다.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증언, 문서, 사진이 공개된 적은 있지만 실제 촬영 영상이 공개된 건 세계 최초다.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센터는 미국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 70년 넘게 보관돼 있던 한국인 위안부 영상을 찾았다고 발표한 후 이를 5일 공개했다.

영상은 당시 미ㆍ중 연합군에 있던 미군 164통신대 사진대 배속 사진병이 아시아ㆍ태평양 전쟁 당시인 지난 1944년 9월 8일 중국 송산에서 촬영한 것이다.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센터가 세계 최초로 공개한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의 모습이 담긴 동영상 캡처 화면. [사진제공=서울시]

화면에는 연합군의 공세에 포로로 잡힌 일본군 위안부 등 7명 여성 모습이 담겨 있다. 연합군 산하 제8군사령부 참모장교 신카위 대위로 보이는 남성이 한 명의 여성과 대화를 나누는 장면도 있다.

이번 발굴은 국내ㆍ외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역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시의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의 성과다.

사업에 참여한 시와 서울대 연구팀은 지난 2015년께 영상 존재 단서를 찾은 후 정보를 추적했다. 미국국립문서기록관리청이 가진 필름 수백 통을 확인한 결과 영상을 찾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양 기관은 지난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10인의 증언 등을 담은 ‘문서와 사진, 증언으로 보는 위안부 이야기’ 사례집 발표에 이어 일본군 위안부가 처한 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증명해내는 데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연구팀은 영상 속 인물들이 일본군 위안부라는 증거로 지난 2000년 고 박영심 할머니가 자신이라 밝힌 사진과 영상 속 인물들의 얼굴, 옷차림이 같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어 영상 속 인물이 누군지는 특정할 수 없으나 적어도 이들이 당시 ‘조선인 위안부 명부’에 있는 여성들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지금까지 찾은 일본군 위안부 증언, 자료, 영상 등을 추후 관련 연구와 외교 수단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오는 9월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될 수 있도록 관련 참고 자료로도 사용할 계획이다. 시민 교육자료 제작에도 활용한다.

이번 연구조사에 참여한 강성현 성공회대 교수는 “일본군 위안부 자료를 찾는 일이 한국에서 김서방을 찾는 일과 같아 쉽지는 않다”며 “그러나 더 늦기 전에 체계적인 조사를 해야하는 만큼 앞으로도 조사를 지속 진행하겠다”고 했다.

박원순 시장은 “지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정부 지원이 끊긴 상태에서 정부가 하지 않으면 서울시라도 하겠다는 마음으로 추진한 결과 오늘의 결실을 얻게 됐다”며 “서울시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과 자원을 계속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