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원호연 사회섹션 사회팀 기자]경찰의 달라진 집회 대응
지난달 30일 서울 광화문 북광장에서 민주노총 주최로 열린 ‘6ㆍ30 사회적 총파업 대회’에 참여한 교육공무원 안모(46) 씨는 “예전에 비해 경찰들의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고 차선에서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이라며 경찰의 달라진 집회 관리 방침에 엄지를 치켜 올렸다.

이날은 도심의 대규모 집회에 대한 경찰의 대응 기조가 유연하게 바뀌었음을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사실상 첫 장이었다. 당초 총파업 대회에는 4만여명의 조합원이 참여할 것으로 예고됐으나 실제로는 이보다 많은 5만여명이 참석했다. 경찰은 집회 관리를 위해 75개 중대 6000여명의 경력을 동원했다. 집회 참여 인원의 10분의 1을 갓 넘긴 숫자에 불과했다.

이전 집회 대응과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차벽과 살수차가 등장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경찰은 살수차와 차벽에 대해 지난달 “일반적 집회 상황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차벽 대신 등장한 것은 폴리스라인과 교통 경찰이었다. 세종대로를 따라 노란색 플라스틱으로 된 폴리스라인이 쳐 졌고 중간중간 경찰관들이 도열하는 것이 집회 참가자들이 신고된 집회 장소를 벗어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책의 전부였다. 본집회가 종료되고 행진이 시작되자 경찰관들은 바리케이드를 뒤로 빼고 집회 행렬이 이동할 동선을 따라 1~2m 간격으로 도열해 인간 표지판 역할을 했다.

시민사회는 지난 이명박ㆍ박근혜 정부 동안 경찰이 시민들의 목소리를 ‘차단’하거나 ‘진압’하는 대신 ‘보호’해주기를 간절히 바래왔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고 나서야 경찰은 이같은 시민들의 소망에 답했다.

그러나 달라진 경찰의 모습에도 일말의 ‘찜찜함’은 남는다. 경찰의 변신이 ‘철저한 자기반성’에 기반했는지 불확실 하기 때문이다. 이철성 경찰청장이 백남기 농민의 사망에 대해 뒤늦게 사과를 하고 당시 청문감사보고서를 법원에 제출했다고 하지만 수사권 조정과 인력 증원 등 필요에 따라 얼굴색을 바꾼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바꿔 말해 권위주의적 정권이 다시 들어설 때도 ‘인권 경찰’로서 시민을 지킬 수 있을 것이냔 의문이 드는 게 사실이다.

이같은 불안감을 불식시키는 것은 경찰의 끊임없는 자기반성과 스스로에 대한 채찍질이다. 지난달 출범한 경찰개혁위원회가 ‘인권경찰’의 단단한 주춧돌 역할을 하길 바란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