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백악관 “새로운 대북제재안 마련…과거 시도하지 않은 방법 택한다”
-NSC 대량파괴무기ㆍ비확산 국장 “트럼프 대북정책, 효과보여”
-“과거엔 시도되지 않은 강력 제재방안 내놓을 것”
-美 백악관 “트럼프, 文대통령 남북 단일팀에 관심”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가적인 북핵 해법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28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 관련 전화브리핑에서 “오직 극도의 압박만이 모멘텀(가속도ㆍ계기)을 모으고 있다”며 새로운 북핵해법을 모색할 것을 시사했다. 미국 백악관 안전보장이사회(NSC)의 대량살상무기(WMD)ㆍ비확산 국장인 크리스토퍼 포드 국장도 최근 군사전문지 ‘브레이킹디펜스’에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제재를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게 된 배경에는 오토 웜비어 사망사건 등 미국 내 대북여론이 악화된 데다 중국의 제재가 가시적인 효과를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독자적인 북핵해법보다는 북한의 동맹국인 중국과 러시아 등을 우회적으로 압박하는 방안을 고안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포드 국장은 “북핵ㆍ미사일 프로그램에 이뤄지는 모든 경제적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과거엔 이뤄지지 않았던 시도들을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북한의) 정권붕괴를 목적으로 하고 있지는 않지만 우리에게 심각한 위협을 가할 작정인 북한으로부터 우리를 지키기 위한 것”이라며 강력한 제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앞서 렉스 틸러슨 미 국무부 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그리고 댄 코츠 미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26일(현지시간) “북한의 핵보유는 긴급한 국가안보 위협요인이며, 최우선 외교과제”라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미국 외교안보 및 정보 수장은 이날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접근법은 강력한 경제제재와 외교수단을 통해 북한의 핵ㆍ미사일ㆍ무기 확산 프로그램을 저지하도록 압박하는 데에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오토 웜비어 사망사건을 계기로 중국의 대북정책에 불만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트위터에서 북한 문제와 관련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의 도움 노력을 매우 고맙게 생각하지만 그런 노력은 제대로 통하지 않았다“며 불편한 심기를 내비친 바 있다.

백악관 고위관계자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대북 압박 역할과 관련해 “중국은 여전히 (압박이) 모자라다”며 “중국은 북한 대외 교역의 90%를 차지하고, (수입을 금지한) 석탄은 그중 하나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날 중국을 4년 만에 ‘최악의 인신매매 국가’ 중 하나로 지정하기도 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