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백악관 "사드, 한미정상회담 주요의제 아냐…자동차ㆍ철강 큰 무역 불균형"
“조건 맞을 때까지 대북 압박 유지가 文과 트럼프 정책…편안하게 느낀다”
자동차·철강 “큰 불균형…트럼프, 무역문제 논의 필요 인식”
대북관여는 조건 맞아야…그전까지는 압박 유지,강화해야
주한미국 방위비 재협상 시사



[미국 워싱턴 D.C=김상수 기자] 백악관은 오는 30일(현지시간)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가 주요 의제로 다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또 자동차·철강을 언급하며 자동차·철강 언급하며 “양국간 무역문제와 관련, 큰 불균형이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문제를 한국과 논의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동맹 관계를 재확인하면서 한편으론, 자동차와 철강 등에 대한 통상압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8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앤드류스 합동기지에 도착,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백악관은 또 이번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에 대한 재논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이날 정상회담에 앞선 전화 언론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사드 배치 완료와 관련해 절차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하면서 “그들은(한국정부) 그것이 사드 배치 결정을 뒤집는 것으로 동일시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문 대통령의 방미가 ‘국빈방문’이 아닌 ‘공식방문’임을 강조하면서 “이 (사드) 문제가 반드시 회담의 주요 논점이 될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양국 간 무역문제와 관련해서는 “양국 간 불균형이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문제를 한국과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국에서 미국산 자동차 판매에 여전히 장벽이 존재하고, 때로는 한국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과도한 양의 중국산 철강 제품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 “한국의 흑자는 축소되고 있고 미국의 (대 한국) 수출은 늘고 있지만, 여전히 큰 격차와 불균형이 존재한다”면서 “양국정상들이 이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양국 정상은 무역 관계에 대해 우호적이고 솔직한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악관은 문 대통령의 대북 관여 정책에 대해서도 문제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관계자는 “조건이 적절하면 관여하지만, 조건이 맞을 때까지 압박을 유지하고 강화한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접근법이고 트럼프 대통령의 접근법”이라며 “우리는 실제로 이 부분에 대해 편안하게 느낀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우리는 문 대통령이 가진 잠재적인 대북 관여에 대한 생각을 놓고 얘기할 것”이라며 “어쨌든 그러한 관여가 ‘(대북) 압박 작전’을 약화하느냐고 묻는다면,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주한미군 방위비 재협상에 대해서는 “이미 부담할 몫을 재논의하기로 메커니즘이 있다. 그 메커니즘이 계속될 것”이라면서도 “한국은 여러 면에서 모범적인 동맹”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백악관은 두 정상의 회담 직후 오찬 이전에 공동성명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