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위안부는 매춘부’ 日 주장, 사실이라면 엄중 대응”
-애틀랜타 日총영사 ‘위안부 매춘부’ 망언에 정부 엄중대응방침
-한미 정상회담 이틀 앞두고 日정부, 스가야마 차관 파견…위안부 합의이행 중요성 강조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정부는 27일 ‘위안부는 매춘부’라는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주재 총영사의 주장에 엄중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애틀랜타 주재 일본 총영사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엄중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위안부 관련 일본 당국자들이 망언을 할 때마다 대사 초치, 대변인 논평, 항의서한 전달 등의 외교적 수단을 동원한 바 있다. 


애틀랜타 소녀상 건립위원회(위원장 김백규) 등에 따르면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 주재 일본 총영사관의 시노즈카 다카시(篠塚隆)총영사는 최근 조지아 주 지역신문 ‘리포터 뉴스페이퍼’와의 인터뷰에서 “위안부는 매춘부”라고 주장했다. 다카시 총영사는 “일본군이 “일본군이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 대부분 한국에서 온 여성들을 성 노예로 삼았다는 증거는 없다”며 “그 여성들은 돈을 받은 매춘부들이었다”고 위안부 피해자를 폄훼했다. 이에 건립위는 성명을 내고 “주 애틀랜타 일본 총영사가 위안부를 인정하지 않고 성노예가 됐던 여성들을 ‘사례받은 매춘부’로 부른 것은 일본 외무성 공직자로서는 근래 들어 처음 있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위안부가 매춘부였다는 다카시 총영사의 발언은 사실과 다를뿐 아니라 2015년 마련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정신을 위반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일본이 위안부 합의정신을 먼저 파기한 것이라는 이야기가 주장이 나올 수 있다. 한일 위안부 합의의 핵심정신은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 및 존엄성 회복과 일본 정부의 사죄에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일본 정부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을 파견해 한국이 위안부 합의를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등 우리 정부를 압박하려는 모습을 취하고 있다. 신스카 차관은 26일(현지시간) 존 설리번 미 국무부 부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2015년 한일 간 위안부 문제 합의를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설리번 부장관에게 “한일합의는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도 환영한 합의로, 착실히 진전시키고 싶다”며 “문재인 정권과 일본 정부는 좋은 스타트를 하고 있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위안부 합의에 따라 한일간 위안부 문제는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된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일본은 한국의 새 정권이 재협상을 추진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기야마 차관의 방미일정은 위안부 합의이행의 중요성을 트럼프 정권에 강조하기 위한 아베 내각의 의도로 풀이된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