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에어부산, ‘빅데이터ㆍVR’로 4차 산업사회 대비
[헤럴드경제=윤정희(부산) 기자] 저비용 지역항공사 에어부산이 빅데이터와 VR(가상현실) 장비를 업무에 적용하며 본격적으로 4차 산업사회 진입을 위한 준비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

에어부산은 지난 5월 말부터 기내 면세품 탑재 및 판매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탄력적 운영에 나섰다. 해당 빅데이터는 지난해 국제선 전 항공편의 면세품 탑재ㆍ판매 정보를 모두 데이터화해 분석한 자료이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노선과 계절에 따라 손님들의 면세품 선호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그에 따라 4가지 타입으로 분류해 각각의 타입에 최적화된 면세품을 탑재하여 판매를 시작했다. 에어부산 측에 따르면 이번 빅데이터에 따른 면세 물품 조정을 통해 판매 수익은 유지하면서 연간 2200만원 이상의 연료비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사진설명=에어부산은 FOQA(Flight Operational Quality Assuranceㆍ비행자료 분석 프로그램)를 통해 산출된 모든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공항별, 노선별, 계절별 특성 등으로 분석, 도출된 운항 정보들을 운항승무원의 교육과 훈련에 활용하고 있다.]

에어부산은 올해 4차 산업사회 진입에 따른 사회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지난 1월 IT 전략팀을 신설하고 전 분야의 팀원들로 구성된 4차 산업 관련 테스크 포스팀(TFT)을 발족해 준비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운항, 캐빈, 영업, 마케팅 등 전 분야를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안전 운항에 관한 일부 사안은 실질적 실행 계획을 수립해 업무에 적용하고 있다. FOQA(Flight Operational Quality Assuranceㆍ비행자료 분석 프로그램)를 통해 산출된 모든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공항별, 노선별, 계절별 특성 등으로 분석, 도출된 운항 정보들을 운항승무원의 교육, 훈련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운항승무원과 캐빈승무원 훈련에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장비를 도입할 계획이다. 난기류, 돌풍 등 상황별 장면을 VR 영상으로 제작한 자료를 훈련에 활용함으로써 현장감이 있는 훈련을 통해 직원들의 대처능력을 키울 계획이다. 특히 VR 장비를 활용한 운항승무원 훈련은 국적 항공사로는 최초로 시도된다.

에어부산 한태근 사장은 “에어부산은 4차 산업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이다”며 “현재 실행 중인 사안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고, 적용 가능한 다른 사안들도 이른 시일 내에 실행에 옮겨 미래 변화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항공사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