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무인기에 뻥뚫린 영공]北, 공격형 무인기 개발 의혹
- 3년 새 눈에 띄게 발전한 北무인기 기술
- 저가형 성층권 무인기 개발 가능성도
- 北, 감시ㆍ정찰 넘어 공격형 개발 의혹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군이 대남감시ㆍ정찰 목적으로 날려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무인기는 3년 전 강원도와 경기도에서 잇따라 발견된 무인기에 비해 기술적으로 크게 발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에 강원도 인제에서 발견된 무인기는 성주 북쪽 수㎞ 지점부터 촬영을 시작한 뒤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가 배치된 경북 성주 남쪽 수㎞ 지점에서 회항해 북상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헤럴드경제DB]

연료부족으로 인제에서 추락하기는 했지만 군사분계선(MDL) 이남 270㎞에 달하는 성주까지 비행한 뒤 북상했다는 점에서 비행 가능 거리가 500여㎞를 넘는 것으로 평가된다.

3년 전인 2014년 강원도 삼척과 경기도 파주, 백령도 등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의 경우 비행거리가 180~300㎞에 불과했다는 점에서 비행거리가 대폭 늘어난 셈이다.

북한 무인기로 추정되는 소형비행체가 후방지역까지 내려온 사실이 확인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발견된 무인기와 형태가 유사했던 백령도 무인기가 단발엔진을 탑재했던 것과 달리 인제 무인기는 쌍발엔진을 달아 추력을 키웠다.

크기도 길이 1.8m, 폭 2.4m로 백령도 무인기보다 조금 컸다.

전문가들은 북한 당국이 비용대비 효과가 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무인기 개발에 많은 자원을 투자하면서 비행거리뿐 아니라 속도와 고도를 높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국내의 한 드론 전문가는 “무인기 기술이 보편화된 상황에서 3년이면 충분한 기술적 진전이 가능하다”며 “민간 차원에서 저가형 성층권 무인기 개발까지 진행되고 있는데 북한의 무인기 위협이 갈수록 더 심각해질 수 있다”고 했다.

북한은 현재 300~400여대의 무인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감시ㆍ정찰을 넘어 소형 폭탄을 탑재한 공격형 무인기 개발에도 열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우리군의 북한 무인기 탐지ㆍ추적이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우리 군은 현재 저고도 탐지레이더(TPS-830K)와 저고도 감시용레이더(갭필러), 그리고 신형 열상감시장비(TOD)와 다기능관측경 등으로 전방지역 무인기를 감시하고 있지만 접경지역 전체를 감시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다 3m 이하 소형비행체 탐지는 어려운 형편이다.

또 무인기를 겨냥한 비호복합 무기체계 배치에 이어 고출력 전자기파(EMP)와 레이저로 격추하는 기술을 개발중이지만 전력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