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용진 부회장 “매년 1만명 이상 고용창출 약속 이어가겠다”
-31일 고양 킨텍스 신세계 채용박람회 참석
-“비정규직 없애고…일자리 창출 적극 협조”

[헤럴드경제=구민정 기자] “구직자분들 행운을 빕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정 부회장은 31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신세계 채용박람회에서 “기업의 사회적책임 중 가장 우선은 일자리 창출”이라며 “더 적극적으로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신세계가 앞장 서겠다”고 밝혔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31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신세계 채용박람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제공=신세계]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대기업의 일자리 창출 여부는 재계의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 신세계그룹이 대기업들 중 처음으로 채용 박람회를 개최한 것이다. 이 자리에서 정 부회장은 “신세계는 비정규직을 없애기 위해 지난 10년 전부터 노력해왔기 때문에 정부 시책에 잘 맞춰가고 있는 기업이라 생각한다”며 “신세계가 매년 1만명 이상을 채용하겠다고 약속했고 앞으로도 그 약속은 지켜질 것”이라며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적극 협조할 것임을 확인했다.

유통업계 만성적인 저연봉 파트타임직 채용에 대해서도 개선 의지를 내비쳤다. 유통업계는 특성상 명절 대목과 시즌별로 단기근로자를 채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비정규직 채용이 잦다. 하지만 이를 정부 정책에 따라 무조건적으로 정규직 전환을 하게 된다면 채용 자체가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정 부회장은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고 있다”며 “신세계는 파트타임 비정규직 비율이 유통업계에서 제일 적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과 더불어 ‘일자리 창출’을 제1과제로 삼고 있다. 사진은 신세계 채용박람회에 참석한 구직자들의 모습. [제공=신세계]

실제로 신세계는 선제적으로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 전환을 추진해 왔다. 이마트도 지난 2007년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대규모 전환시켰다. 그 결과 현재 이마트의 경우 총 고용인원 2만7942명 중 99.3%를 정규직으로 채용한 상태다. 정규직 중 기간제법 적용대상에서 제외되는 ‘무기계약직’ 사원은 1514명으로 5.4%며, 비정규직 사원은 177명이다. 이들은 연속 근무기간 24개월이 지나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다.

한편 대형마트 출점 허가제와 같은 신규 출점 규제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문재인정부가 출범하면서 유통업계에선 출점 규제 강화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 부회장은 “실제 규제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앞으로 잘 지켜보겠다”고 했다. 현재 부천 신세계백화점을 둘러싼 인근 지역 소상공인과의 갈등에 대해선 “기회가 주어진다면 열심히 해보겠다”고 했다.

korean.gu@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