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쿠팡맨’ 논란 재점화…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능사일까?
- “택배근로자 정규직 고용으로 쿠팡, 2년째 5000억 적자”
- “취지 좋지만 택배업 고려한 정책 나와야”
- 전국택배연대노조 “적자는 정상적인 구조 변화 따른 비용”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새정부 일자리 창출의 최대 이슈로 부각된 가운데, 재계에선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고용한 후 2년간 1조2000억원에 달하는 누적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쿠팡의 사례가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택배업계 일각에선 택배기사의 정규직 전환이 자칫 기업과 근로자 양쪽 모두에게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30일 택배업계 관계자들은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관행적으로 대리점과 계약을 맺어 고용해왔던 택배근로자들을 모두 정규직으로 대체할 시 막대한 적자가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았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현재 대부분의 택배사들은 대리점과 계약을 맺어 택배기사들을 간접 고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배송단가 2000원 중 절반을 택배사가 운영비용으로 떼가고 이 중 절반을 다시 대리점에서 관리비용으로 떼어가는 것이다.

고용형태 공시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CJ대한통운의 사내 정규직은 5095명. 비정규직은 238명이다. 택배기사와 같은 소속 외 근로자 수는 이들의 두 배에 가까운9689명으로 나타났다. 한진은 같은 기간 정규직 2071명, 비정규직 206명, 소속 외 근로자가 7371명이었다. 비정규직이 정규직의 3배가 넘는 셈이다.

업계에선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의 취지는 좋지만 택배업을 고려한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주장한다. 업종 특성상 설 명절과 같은 특정 기간에 일거리가 많아질 수밖에 없는데, 이 시기를 위해 많은 인력을 정규직으로 미리 고용해놓긴 쉽지 않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택배근로자들의 정규직화로 인한 영향은 쿠팡맨의 사례에서 엿볼 수 있다”면서 “쿠팡이 택배근로자들을 정규직으로 고용하며 2년째 5000억원이 넘는 적자를 냈는데 이는 우리 회사의 한 해 택배사업 매출과 맞먹는 금액”이라고 말했다. 이어 “물론 쿠팡은 유통회사라 물류배송이 배달의 개념이고 택배사는 유상운송이라지만, 대(代) 고객 서비스 차원에서 볼 때 쿠팡의 서비스는 택배사들이 지향해야 할 것이라 충분히 비교 가능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실제 쿠팡은 최근 쿠팡맨의 인건비를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2년간 누적 적자가 1조2000억원에 달한다. ‘계획된 적자’라는 게 쿠팡의 주장이지만, 사실상 적자는 6년째 이어지고 있다. 정규직 전환도 까다로워지며 인턴 과정에서 잘려 나가는 이들도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최근 있었던 헨리 로 수석부사장의 경질이 쿠팡맨 실패에 대한 책임이란 얘기 등도 나오고 있다. 김범석 쿠팡 대표가 한때 쿠팡 정규직을 1만5000명까지 늘리겠다고 밝혔지만 쿠팡맨은 3500명에서 답보상태다. 급기야 당일배송이 원칙인 로켓배송 가운데 일부 제품의 배송 기일이 +2일로 늘었다.

이러한 택배업계 일각의 주장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김진일 전국택배연대노동조합 정책국장은 “비정규직을 정규직화 하는 과정에서 적자가 나는 건 당연하겠지만, 이는 정상적인 구조로 가는 데 드는 당연한 비용”이라며 “그 동안 택배사들이 자신들이 부담해야 할 관리 책임 등 여러 부담을 지지 않기 위해 꼼수를 부려왔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정책국장은 “택배사들이 이윤을 창출하는 핵심 수단은 택배근로자들”이라면서 “택배근로자들에게 노동에 따른 정당한 대접을 해줘야 하는 게 맞다”고 덧붙였다.

일단 택배사들은 정부의 비정규직 범위에 대한 정의가 확실치 않아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비정규직의 범위를 어디까지 보느냐에 따라 향후 방침이 나올 수 있을 것 같다”면서 “현재는 상황 파악을 하고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