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녹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용접부 처리기술’ 세계 최초 개발
- 2010년 개발 착수…1100여개 시편 설치, 실험
- 포스코와 공동실증연구 성공, 특허등록도 완료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서울시가 7년여의 연구 끝에 장기간 염소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도 녹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용접부 처리기술’ 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현장 실증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서울물연구원은 2010년 녹슬지 않는 용접부 처리기술 개발에 착수, 2011년 12월에 스테인리스 용접부에 녹슬지 않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원은 2015년까지 영등포 정수센터 등에 1100여개 시편을 설치, 실험했으며 현재까지 녹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현산배수지 도류벽에 설치된 스테인리스강. [제공=서울시]

이어 2014년 10월 포스코와 ‘스테인리스강 방식기술개발 공동 실증연구 협약’을 맺고, 대현산 배수지에 지난해 6월 현장 실증 시설물을 설치, 운영한 결과 실증연구에 성공했다.

시는 공동실증연구를 위해 대현산 배수지 1곳에 예산 6000만원을 투자했다. 포스코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합금강 6t을 무상 제공했다. 두 기관이 공동개발하고 특허등록한 스테인리스 합금강 용접부 부식방지 기술은 물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설치한 콘크리트 도류벽 530㎡에서 부식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합금강은 녹이 슬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장기간 염소가스 환경에 노출되면 녹이 슬 수 있다. 특히 용접부는 용접 처리 과정에서 고온의 열에 의해 염소에 강한 크롬이 증발해 부식이 발생한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용접부 크롬 부족층을 산으로 용해시켜 제거하고, 크롬 산화막을 보다 두껍게 생성시켜 염소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시는 수돗물에 병원성 미생물 살균, 수인성 질병 예방을 위해 염소가스를 주입, 수도꼭지에서 약 0.2㎎/ℓ 정도로 관리하고 있다. 이는 인체에는 무해한 양이다.

아울러 시와 포스코는 배수지에 적용된 스테인리스합금강의 부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IoT(사물인터넷)기술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관련 전문가를 초빙해 현장에서 용접부 등에 대한 부식여부를 매년 2회 확인할 계획이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