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재인 정부] 첫 공약도 첫 지시도 ‘일자리’…文 정부 일자리위원회 가동 첫 삽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대선선거운동 첫날인 지난 4월 17일, 당시 문재인 후보는 첫날 첫 공약 발표로 일자리 정책을 택했다. 대통령 취임 첫날인 지난 10일, 문 대통령은 첫 업무지시로 일자리 대책을 주문했다. 대선 공약의 1순위도, 대통령 업무의 1순위도 일자리란 점을 보여준 대목이다.

문 대통령은 대선 당시 취임 직후 10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 편성 추진과 함께 “취임 후 100일간 일자리 과제를 달성하겠다”고 ‘일자리 100일 플랜’을 공약했다. 문 대통령이 첫 업무지시로 일자리위원회 설치 및 일자리 대책 마련을 주문한 것도 이 같은 일환이다. 

[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을 대통령 직속 국가일자리위원회는 ‘메머드급’ 규모가 될 전망이다. 대통령 위원장 산하에 국무총리가 부위원장을 맡고, 민간위원 10명과 정부위원 10명이 부위원장에 소속된다. 국가일자리대책본부장은 차관급이 맡는다. 산하에 정책기획단, 일자리창출단, 고용혁신단, 대외협력단 등 4개국 18개 과로 설치된다. 기획재정부나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등을 포함한 14개의 정부부처, 10여개의 유관기관, 7개 정부출연기관 등이 협력해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청와대는 실무작업반을 구성하고서 관계부처별 일자리 계획 제출 및 보고, 관계부처 회의, 민간 전문가 간담회, 차관급 정책조정회의 등을 거쳐 6월께 일자리 종합대책을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일자리위원회가 일자리 정책의 수단이라면, 일자리 정책의 목표는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이다. 이는 문 대통령의 일자리 핵심 공약이다. 공무원 일자리 17.4만개, 사회서비스 공공기관 일자리 34만개, 근로시간 단축이나 간접고용 전환 등에 따른 30만개 일자리 창출 등으로 구성됐다.

일자리위원회에선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 필요한 재원, 향후 효과, 유지 방안 등을 집중 논의할 계획이다. 대통령 집무실에 일자리 현황판을 작성, 문 대통령이 직접 업무 진행 상황을 챙기게 된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