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발 ‘北고립작전’ 통할까…아세안에 자금줄 봉쇄 촉구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미국이 북한의 외교적 고립을 심화시키는 ‘북한 고립작전’에 나섰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4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개최된 미-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 회담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제재 이행을 강화하라고 촉구했다.

패트릭 머피 미 국무부 동남아 담당 부차관보는 AP통신에 틸러슨 장관이 아세안회원국 10개국 외교장관에게 “북한과 외교관계를 최소화함으로써 북한이 외교채널에서 핵ㆍ미사일 개발 열망을 이룰 수 있는 이득을 취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틸러슨 장관은 “모든 국가가 안보리 결의를 이행하도록 소통하고 있으며, 더 중요한 것은 북한이 도발적인 무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사용된 수익의 원천을 차단하는 것”이라고 했다. 


미 국무부가 아세안회원국에 북한과의 대북제재 강화를 촉구하고 나선 데는 북한 출신 노동자들이 아세안회원 각국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북한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무기거래나 외화벌이를 계속하며 제재의 망을 피하기도 했다. 아세안회원국 10개국 모두 현재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으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ㆍ베트남ㆍ라오스ㆍ캄보디아ㆍ말레이시아 등 5개국은 북한 평양에 대사관이나 대표부를 두고 있다.

지난달 26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최대한의 압박과 개입’(Maximum pressure and engagement)을 골자로 한 대북정책을 발표하며 북한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데 국제사회의 참여도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安倍 晋三) 일본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과 잇달아 통화하며 대북제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미국은 최근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에도 아세안회원국이 대북제재에 동참할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해달라고 요청했다. 틸러슨 장관은 지난달 28일 이례적으로 유엔 안보리 북핵 장관급회의를 주재해 “(유엔 회원국들은) 북한과의 외교관계를 정지·격하(suspend or downgrade)해야 한다”며 핵ㆍ미사일 도발을 거듭하는 북한을 외교적으로 압박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