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명 중 6명 “다시 태어나도 내 부모ㆍ자식 선택”
80% 이상 “부모와 자녀는 서로에게 꼭 필요한 존재”
응답자 절반 “다른 집처럼 효도 못해 죄송해”, “뒷바라지 못해 미안해”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다시 태어나도 똑같은 선택을 할 수 있나’

다소 극단적인 이 질문이 부모와 자식 사이를 말하는 것이라면 “같은 선택을 하겠다”고 말한 사람이 10명 중 6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대답에서 느껴지는 애정만큼이나 서로에 대한 미안함도 상당했다. 자녀 세대는 ‘다른 집처럼 효도를 못한 것’, 부모 세대는 ‘다른 집처럼 뒷바라지를 못한 것’을 미안한 감정이 드는 이유로 꼽았다. 
사진=오픈애즈

5일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의 만 19~6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6일간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다시 태어나도 부모님의 자녀로 태어나겠다’는 자녀세대의 응답은 64.8%를 차지했다. 부모세대의 경우 ‘자녀의 부모로 태어나겠다’는 답변이 68.7%였다.

자녀세대의 86.8%, 부모세대의 85.0%는 각각 부모님과 자녀가 자신에게 꼭 필요한 존재라는 데 공감했다. ‘부모가 자신을 전적으로 신뢰한다’고 보는 자녀세대(76.0%)와 ‘자식이 자신을 전적으로 믿어준다’고 답한 부모세대(71.7%)가 대다수였다. 

신뢰만큼이나 미안한 마음도 컸다. 자녀세대의 10명 중 7명(68.0%)은 ‘다른 집 자식처럼 효도하지 못하는 것 같아 죄송하다’는 생각을 드러냈다. 자녀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다하고 있다는 의견은 28.8%에 불과했다.

부모는 열심히 키웠다는 자부심과 더 많이 해주지 못했다는 미안함이 뒤섞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세대의 절반 이상(55.2%)은 ‘다른 집처럼 자녀 뒷바라지를 못하는 것 같아 미안하다’고 했다. 부모로서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는 의견(48.7%)도 적지 않았다.

‘경제적 여건’에 대한 아쉬움은 부모와 자식 모두에게서 드러났다.

자녀세대의 75.2%는 ‘우리 집이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절반 이상(52.3%)은 ‘경제적으로 좀 더 여유 있는 가정에서 태어났더라면 내 인생이 지금보다 더 나았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런 아쉬움과 별개로 부모가 나를 위해 많은 희생을 했다는 데는 대부분(87.2%)이 공감했다. 이미 자식을 위해 번 돈을 모두 썼으니 물려줄 재산을 기대하는 것은 욕심이라는 대답도 73.7%에 달했다.

부모세대의 66.4%는 ‘경제적으로 좀 더 여유가 있는 가정에서 키웠더라면 자녀의 인생이 지금보다 더 나았을 것’이라는 답변을 내놨다. 자녀에게 물려줄 만한 재산이 없는 것이 미안하다는 부모가 56.1%에 달했다. 유산을 자녀가 물려받는 것을 비교적 당연하게(62.1%) 받아들이면서도, 45.8%는 자녀의 결혼까지 경제적으로 뒷받침할 자신이 없다고 털어놨다.

an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