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ㆍ安, 위크포인트(weak point)를 극복하라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대선이 3주 앞으로 다가왔다. 기본 지지층은 다져진 상태다. 외연 확대와 약점을 극복하는 일만 남아 있다. 공식선거운동이 시작된 지난 17일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첫 선거유세는 이를 극복하는데 맞춰졌다. 문 후보는 대구로, 안 후보는 광화문으로 달려갔다.

문 후보는 대구ㆍ경북(TK), 보수층, 50~60대에 약세를 보이고 있고, 안 후보는 부산ㆍ경남(PK), 진보층, 20~40대 젊은 층에서 문 후보에 뒤처지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4일 공개한 4월 2주차 여론조사결과(1010명 조사,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포인트, 응답률 23%)를 보면 TK 지역에서 문 후보의 지지율은 25%로 안 후보의 48%에 크게 뒤진다. 대전ㆍ충청도 열세지만 오차범위 내다. 나머지 4개 권역은 모두 우세다(부산 경남, 호남은 오차범위 밖 우세). 연령대별로 보면 19세~20대, 30대, 40대에서는 문 후보가 안 후보를 압도하고 있다. 하지만 50대로 넘어가면 상황은 역전돼 안 후보의 지지층이 훨씬 많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이념성향별로도 크게 갈린다. 자신이 보수라고 답한 응답자 중 48%가 안 후보를 지지하는 반면, 문 후보는 보수층의 17%만 지지를 받고 있다. 진보라고 답한 응답자의 66%가 문 후보를 지지하지만 안 후보를 지지하는 진보층은 23%다.

첫 공식선거운동 일정에는 두 후보의 약점극복 의지가 고스란히 담겼다. 문 후보는 공식 선거유세를 대구 2ㆍ28 민주의거기념탑에서 시작했다. 문 후보는 “반드시 대구의 마음을 얻겠다”고 외쳤다. 특전사 후배가 씌워준 베레모를 쓴 채 “군대도 안 갔다온 사람들, 저 문재인 앞에서 안보 얘기 하지 말라”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모두 보수를 겨냥한 행보다.

안 후보는 첫 유세지를 광화문 광장으로 택했다. 문 후보 측이 안 후보를 향해 씌우는 ‘적폐세력의 지지를 받는 후보’ 프레임과 거리를 두고 촛불시민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안 후보는 대통령 탄핵이 국회에서 의결된 후 탄핵 조기 인용을 촉구하는 촛불집회에 찾지 않았다. 이를 두고 문 후보는 “촛불집회에 참석하지 않으면서, 정권교체를 이야기할 수 있냐”고 비판했다. 안 후보 측은 보수후보와의 연대설이 떠도는 것에 대해 극도로 경계하는 분위기다. 보수층의 지지를 얻는 대신, 호남ㆍ진보 지지층이 빠져나가는 것에 대한 우려의 방증이기도 하다. 실제로 지난 16일 세월호 3주기 추모식 때 안 후보는 세월호 유가족으로부터 야유를 받았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와 함께다. 세월호 사건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의 시초가 된 사건이다. 국민의당은 국민의당ㆍ자유한국당ㆍ바른정당 간의 연대를 전제로 여론조사를 한 여론조사기관을 고발하기도 했다.

안 후보는 광화문 유세 후 호남으로 달려갔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안 후보는 문 후보와 백중세지만 호남과 PK에서 오차범위 밖 열세를 보이는 상황이다. 부산 경남 유세는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와 이언주 의원이 맡았다. 당 관계자는 “손 전 대표와 이 의원은 영남에서 거부감이 없다”고 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