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자 해마다 늘어…30만명 돌파 초읽기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국민연금이 노후보장 수단으로의 유용성이 부각되면서 의무가입이 종료된 만 60세 이후에도 보험료를 계속 납입하는 고령자가 해마다 늘고 있다.

10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자 수는 28만3132명에 달했다. 2010년 4만9381명에 불과했던 임의계속가입자는 2011년 6만2846명, 2012년 8만8576명, 2013년 11만7018명, 2014년 16만8033명, 2015년에는 21만9111명으로 매년 급증하는 추세다. 임의계속가입자를 성별로 보면 남자 8만9440명, 여자 19만3692명으로 여자가 월등히 많았다.



임의계속가입은 국민연금 가입자나 가입자였던 사람이 의무가입 상한연령인 60세에 도달했지만, 노령연금 수급조건인 10년(120개월) 가입기간을 다 채우지 못해 연금을 받지 못하거나, 가입기간을 연장해 더 많은 연금을 받고자 할 때 65세가 되는 시점까지 ‘본인의 신청’으로 계속 가입해 노후 연금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다.

임의계속가입자가 급증하는 이유는 국민연금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도가 높아져 일시금보다는 연금으로 받는 것이 노후 대비에 안정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국민연금 측의 분석이다.

또 연금개혁으로 수급연령이 2014년부터 61세로 늦춰지면서 가입기간을 늘려 나중에 받는 연금액수를 높이는 쪽을 선택하는 가입자가 늘어난 것도 임의계속가입자 증가의 한 요인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2007년 국민연금 개혁을 통해 연금지급 시기를 단계적으로 5년마다1세씩 늦춰 2033년에는 65세에 이르러서야 연금을 탈 수 있게 했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