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진해운 파산, 美 컨테이너 공급난에 영향”
- 컨테이너 대여 회사들, 한진해운 대여 컨테이너 미 회수
- 유럽발 아시아행 물동량 증가, 중국 새 환경규제 등도 영향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한진해운의 파산이 미국 컨테이너 공급에 여파를 미쳤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우현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연구원은 9일 “한진해운에서 빌린 컨테이너가 20만개 이상인데 아직까지도 컨테이너 대여 회사에 회수되지 않았다”면서 “이에 컨테이너 대여 회사들이 새 컨테이너 주문을 미루게 되며 컨테이너 재고가 감소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미국 수출업자들은 최근 컨테이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럽발 아시아행 물동량 증가 △자국 내 새로운 환경규제에 따른 중국 컨테이너 제조사들의 공장개조 등이 원인.

여기에 전 연구원은 한진해운의 파산도 컨테이너 공급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컨테이너 미회수와 더불어 “지난달 미국 연방법원이 뉴저지항만공사와 조지아항만공사가 뉴욕항만터미널에 있는 한진해운 컨테이너들을 매도 및 처분할 수 있도록 허가했지만 한진 컨테이너들이 트럭, 창고 및 항만터미널 등 미국 전역으로 처분되며 글로벌 컨테이너 공급불안 가능성이 야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컨테이너 공급난이 점차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글로벌 컨테이너 대여 회사를 이끄는 필립 브루어 텍스테이너 대표는 “컨테이너 공급 감소와 낮은 재고 및 판매가격 상승 등으로 컨테이너 부족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며 컨테이너 공급난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 내다봤다.

미국 뿐 아니라 다른 국가에도 유사한 문제가 대두될 것이란 주장도 있다. 현대상선 미국법인 전 대표인 데이브 아세놀트도 “새 해운 얼라이언스가 출범하며 기존 공 컨테이너 수급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공급사슬은 서로 쉽게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미국 뿐 아니라 다른 국가들도 공 컨테이너 수급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