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커지는 ‘작전계획 5027’ 유출 가능성, 軍 해킹 수사 마무리 단계
[헤럴드경제] 지난해 9월 발생한 국방 전산망 해킹사건 수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부는 3일 입장자료에서 “2016년 9월경 발생한 국방망 해킹사건 수사를 위해 국방부 검찰단에서는 같은 해 12월 23일 수사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군, 관련기관, 민간업체에 대해 철저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수사가 종결되는 대로 그 결과를 알려 드릴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군 인트라넷(국방망)은 작년 9월 창군 이후 처음으로 해킹 공격을 당해 일부 기밀이 유출됐다. 군 당국은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국군사이버사령부를 압수수색하는 등 강도 높은 조사를 해왔다.


국방부는 “국방부 검찰단은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해킹사건과 관련한 인원 및 업체 직원 등 약 40여 명에 대해 광범위하게 수사를 진행 중이며 신속한 수사를 통해 책임자를 엄중하게 처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한반도 유사시 한미 군의 대응 계획인 ‘작전계획 5027’ 유출됐다는 관측이 나왔다. 지난해 12월 사건이 불거진 직후에도 작전계획을 비롯한 1급 군사기밀이 유출됐다는 설이 끊이지 않았다. 작전계획 5027이 통째로 유출되지는 않았더라도 작전계획이 일부 반영된 자료가 유출됐을 가능성은 있다는 게 군 안팎의 관측이다.

군 당국은 국방망 해킹으로 유출된 자료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이다. 북한이 자료를 확보했을 경우 이를 확인해주는 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방부는 “지난해 말 사건이 불거진 이후 즉각 구성한 ‘국방사이버안보 혁신위원회’를 중심으로 재발방지 대책 수립 및 시행 등 후속 조치를 충실히 진행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