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 역사왜곡 대응위해…교육부, ‘독도 교육’ 속도 높인다
-‘독도교육 기본계획’ 발표…2015개정교육과정 적용
-교육부ㆍ동북아역사재단ㆍ시도교육청 공동 마련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일본의 되풀이되는 독도 영유권 주장 등 교과서 역사 왜곡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초ㆍ중ㆍ고교 교과서에 독도 기술을 확대하고 각종 체험형 활동을 강화한다.

교육부는 24일 동북아역사재단, 시ㆍ도교육청과 함께 마련한 ‘독도교육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일본 정부가 지난달 초ㆍ중학생들에게 독도가 일본땅이라는 교육을 강화하는 학습지도요령 개정안을 공개한데 이어, 이날 문부과학성이 독도가 ‘일본의 영토’며 ‘한국이 불법점거하고 있다’는 내용의 내년도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검정한데 따른 것이다.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기본계획에 따르면 오는 2018년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문ㆍ이과 통합형)’에 따라 독도교육은 교과수업뿐만 아니라 비교과 영역인 창의적 체험활동 등 교육활동 전반에서 진행된다.

우선 초ㆍ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지리ㆍ역사ㆍ기술가정 교과에서 독도교육을 확대 적용한다. 특히, 교과서에는 객관적인 자료를 실어 독도가 분쟁의 여지가 없는 대한민국의 고유 영토임을 다시 한 번 분명히 밝히고 학생들이 일본의 부당한 주장에 대해 논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활동 및 체험 중심의 독도교육이 학교 안팎에서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교과를 구성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제2회 독도교육주간’을 운영하고, 시ㆍ도교육청 또는 단위학교에서 4월 중 한 주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유동인구가 많은 KTX역을 중심으로 ‘찾아가는 독도전시회’를 개최해 일본의 부당한 독도 영유권 주장의 실상과 독도가 우리나라 고유의 영토임을 알 수 있는 자료를 전시한다.

교육부는 ‘독도교육실천연구회’를 운영해 학교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창의적인 독도 교수ㆍ학습 자료를 개발토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전국단위 공모를 통해 연구회 총 25곳을 선정, 지원한다.

전국 중ㆍ고등학생들이 독도의 역사ㆍ지리 등 관련내용을 겨루는 ‘제6회 독도바로알기대회’도 교육부는 개최한다.

정부는 독도전시관 2개관도 추가 구축한다. 지난 2014년 처음 설립된 독도전시관은 지난해까지 충북, 전남, 경남, 대구 등의 지역에 총 9개관이 건립됐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과를 통한 독도 교육 내용 강화와 다양한 독도 체험 등 통합적인 독도교육이 학생들의 독도 영토주권 수호의지를 더욱 높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