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3ㆍ18 집회]폭력집회 사망자 추모 태극기 집회, 평화집회할까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광장 대결의 승리는 촛불집회로 돌아갔다. 18일에는 ‘탄핵 무효’를 주장하는 ‘태극기집회’만 열릴 예정. 이들은 탄핵 심판 당일 폭력집회 도중 사망한 3명의 집회 참가자의 추모행사를 연다는 계획이나 분위기가 과열될 경우 또다시 과격 행위가 벌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친박단체 ‘대통령 탄핵무효 국민저항 총궐기 운동본부‘(국민저항본부)는 이날 정오 중구 대한문 앞에서 ‘제2차 탄핵무효 국민저항 총궐기 국민대회’를 이어간다. 정광용 국민저항본부 대변인은 ”이날 집회의 참가자 숫자는 태극기 운동의 향방을 결정할 것이다”며 최대한 많은 친박단체 회원이 참여하기를 촉구했다.

이날 집회에는 지난 10일 헌법재판소 인근 시위에서 벌어진 유혈사태 당시 사망한 김모(72)씨와 또 다른 김모(67)씨, 이모(74)씨 등에 대한 추모행사가 열린다. 집회 참가자들은 이들을 추모하며 안국역 방면 행진과 헌화 행사를 할 계획이다. 70대 김씨는 다른 집회 참가자 불법행위로 경찰 소음관리차량에서 떨어진 스피커에 맞아 과다출혈로 숨졌고, 다른 2명은 심장 이상이 사인이었다.

국민저항본부는 이중 60대 김씨의 경우 경찰의 강경진압에 의해 버스에서 떨어져 숨졌다고 주장하며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이날 집회에서도 경찰의 집압으로 부상당했다고 주장하는 참가자가 단상에 오를 예정이어서 집회 참가자들이 흥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난 11일 집회에서도 단상에서는 폭력 자제를 요청했지만 몇몇 집회 참가자들이 일반 시민이나 취재진에 대해 폭언과 폭행을 자행하기도 했다.

이철성 경찰청장은 “탄핵 당일에는 결과에 관계없이 양쪽 모두 울분을 터뜨릴 수 있어 ’전략적 인내‘로 시위 관리에 임했다”면서 “이번 주부터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엄정히 법 집행을 할 것”이라고 밝혀 경찰의 대응이 주목된다. 

경찰은 이날 137개 중대 1만1000여명을 동원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