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엔 北대표부 “핵포기 목적이라면 대화 관심없다”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북한이 비핵화를 전제로 한 대화에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는 13일(현지시간) “우리의 핵 프로그램을 포기토록 하는 목적이라면 어떤 종류의 대화에도 관심없다”고 밝혔다.

북한 대표부의 김인룡 차석대사는 북한대표부의 조종철 대변인을 통해 “미국이 북한 적대시 정책을 버리는 것만이 양국 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기본 자세”라고 주장했다. 뉴욕 유엔본부에서 이뤄진 기자회견에서 ‘미국과의 양자회담이든, 북핵 6자회담 같은 다자회담이든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의 대화에 열려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앞서 김 차석대사는 이날 유엔본부에서 진행된 한 기자회견에서 김정남 암살사건과 관련해 한국과 미국을 비난했다. 김 차석대사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 피살과 관련해 “이번 사건은 처음부터 끝까지 미국과 한국 정부가 저지른 무모한 행동의 산물”이라며 “(사인이)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는데도 한국과 미국은 근거없이 우리를 비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암살에 사용된 것으로 발표된 화학무기 ‘VX’는 적은 양으로도 치명적인데, 왜 손바닥에 이를 묻혀 김정남을 공격한 용의자는 살아 있고, 김정남만 사망했느냐며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김 차석대사는 역으로 미국은 VX를 제조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라 가운데 하나이고, 한국이 이런 화학무기를 비축해두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이 김정남 공격에 사용될 화학물질을 제공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김 차석대사는 “미국의 최종 목적은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혐오감을 계속 키우려는 것”이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제재를 ‘불법’이라고 억지를 부리기도 했다. 이를 따져보기 위해 ‘법률전문가 포럼’을 열자는 3개월 전 북한의 제의를 유엔이 외면했다고도 비난했다.

한미연합훈련에 대해서도 “북한을 핵으로 선제 타격하려는 목적에 따른 실전 연습”이라고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