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사드 보복 이어…한반도 겨냥 탐지 레이더 설치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한반도 배치에 불만을 품은 중국이 최근 네이멍구 자치구에 한국과 일본을 겨냥한 최첨단 레이더를 설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13일(현지시간) 티에쉐망, 591젠쿵망 등 중국 군사전문 매체는 중국이 지난 1월께 네이멍구 지역에 한국과 일본 수도를 겨냥한 탐지거리 3000㎞의 ‘톈보’(天波) 초지평선(OTHㆍOver the Horizon) 탐지 레이더를 설치했다고 보도했다. 사드 레이더의 탐지거리 600㎞보다 훨씬 길어 한일 양국 전역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후베이ㆍ허난ㆍ안후이 등 3개 성의 교차지점에 설치된 첫 번째 톈보 레이더와 함께 운용되면 서태평양 전역이 중국의 감시 아래 놓인다. 

[사진=게티이미지]

중국이 새로 설치한 톈보 레이더의 실시간 탐지 구역은 일본 야마구치현 이와쿠니 해병항공기지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미군이 이와쿠니 해병항공기지에 설치한 최첨단 스텔스 전투기 F-35B도 탐지 범위에 들어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티에쉐망은 “중국도 최근 선보인 엑스 밴드 조기경보 레이더와 탄도미사일 경보 위성 등과 함께 미국의 ICBM(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미사일방어(MD)체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헤이룽장성 솽야산에 탐지거리 5500㎞의 신형 위상배열 레이더를 설치해놓고 있다.

중국이 배치할 계획인 DWL-002&YLC-20 패시브 레이더의 탐지거리는 400~500㎞로 중국 연안지역에 배치되면 한반도 전역이 탐지대상이 된다.

일본에는 교토 부근 교탄고시의 교가미사키 항공자위대 기지와 아오모리현의 샤리키 기지에 사드레이더가 있다. 일본의 사드 레이더는 전진배치용이라 최대 탐지거리가 2000㎞다. 적의 탄도미사일을 상승단계부터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