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黃대행ㆍ트럼프, 전화통화…北 미사일 경고 메시지
-黃대행 “北, 美 대북정책과 한미동맹 시험”
-韓日국방 “北 도발 규탄, 긴밀한 공조체제 유지”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전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국무총리실은 “황 대행은 이날 오전 8시40분부터 9시까지 집무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했다”며 “이번 통화는 미국 측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고 밝혔다.

황 대행과 트럼프 대통령 간 통화는 지난 1월30일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사진=헤럴드경제DB]

황 대행과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서 북핵ㆍ미사일 대응 공조방안을 비롯해 한반도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황 대행은 통화 뒤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조금 전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했다”면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등 핵 도발 상황에 따른 한미 공조방안에 대해서 논의했다. 정부는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하겠다”고 소개했다.

황 대행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의도에 대해 “반복적인 발사를 통해 핵탄두 운반수단인 탄도미사일 성능을 시험하고 최종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까지 개발해 핵ㆍ미사일 능력을 완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김정남 피살과 관련한 불리한 국면에서 벗어나는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미동맹을 시험하려는 의도일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37일만에 황 대행과의 전화통화를 요청한 것은 북한의 전날 탄도미사일 발사 등 잇단 도발에 대해 한미 정상 간 신속한 소통을 취함으로써 북한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이날 오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도 통화를 갖고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한 미일 협력을 강조했다.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핵ㆍ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100% 일본과 함께할 것”이라며 “미국과 자신을 100% 신뢰해 달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한미일 외교안보라인 간 공조도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한민구 국방장관은 이날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일본 방위상과 전화대담을 통해 북한의 핵ㆍ미사일 도발에 대해 강력 규탄하고 고도화되고 있는 북핵ㆍ미사일 위협의 엄중함에 대한 공동인식을 토대로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또 전날에는 윤병세 외교장관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 요청에 따라 통화를 갖고 대북 공조방안을 논의한데 이어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허버트 맥마스터 미 국가안보보좌관과 긴급 전화협의를 갖고 강력하고 실효적인 대북제재ㆍ압박을 위한 공조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한미일 3국은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개최를 요청했으며, 이에 따라 오는 8일께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추가 도발 중단을 촉구하는 안보리 언론성명이 채택될 전망이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