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미일, 北 탄도미사일 발사 긴박한 대응
-韓日, 각각 NSC 소집 “강력 규탄”
-정부 “北 감내할 수 없는 대가 치를 것”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한국과 미국, 일본은 6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직후 긴박한 움직임을 보였다.

한미일 3국은 고위 외교안보채널을 가동해 현황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긴밀한 대북공조 의지를 확인했다.

한국과 일본은 각각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고 단호한 대처 의지를 다졌다.

[사진=헤럴드경제DB]

황 대행은 권한대행을 맡은 이후 이날 처음으로 청와대 ‘지하벙커’인 국가위기관리상황실에서 NSC 상임위원회를 주재하고 “북한이 우리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를 무시하고 또다시 탄도미사일 발사를 감행한 것은 국제사회에 대한 정면도전이자 중대한 도발행위로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황 대행은 특히 “주한미군 사드 배치를 조속히 완료해 북한의 핵ㆍ미사일에 대한 방어체제를 갖추는 동시에 대북 억제력 제고를 위해 미국의 확장억제력을 실효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방안들도 적극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중국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북한 핵ㆍ미사일 방어를 위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필요성을 강조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4발 가운데 3발이 자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떨어진 일본은 격앙된 분위기였다.

아베 총리는 이날 오전 NSC를 개최한 뒤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북한에 의한 추가 도발 행위에 대비해 정보수집 및 경계감시에 임하는 동시에 국민의 안전과 안심을 확보하기 위해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고 보고했다.

참의원은 이 과정에서 아베 총리가 NSC를 소집할 수 있도록 이례적으로 예산위 회의를 40분간 중단했다 속개해 눈길을 끌었다.

한미일 외교안보라인의 발걸음도 분주했다.

윤병세 외교장관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 요청에 따라 통화를 갖고 대북 공조방안을 논의했다.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 등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간 잇달아 통화를 갖고 김정남 암살에 연이은 북한 도발에 강력 대응하기로 했다.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도 이날 허버트 맥마스터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긴급전화협의를 갖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강력하고 실효적인 대북제재ㆍ압박을 위해 양국간 공조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이날 외교부 성명을 통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 규탄하고 “모든 국가들이 안보리 결의 2270, 2321호 등 대북 제재결의를 철저히 이행하도록 해나감과 동시에 미, 일, 유럽연합 등 우방국들의 강력한 독자제재를 통해 북한이 감내할 수 없는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 오전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4발을 발사했다.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약 1000여㎞ 날아갔으며 비행최고고도는 약 260㎞에 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