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민주당 경선에도 급부상한 현안, ‘사드’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와 북한 미사일 발사 도발 등으로 사드가 더불어민주당 경선의 현안으로 급부상했다. 6일 열린 후보 합동 토론회에서도 각 후보는 사드 배치 입장을 두고 긴 시간을 할애하며 공방을 벌였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복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문제이기에 전략적으로도 모호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게 문 전 대표의 주장이다. 이에 따라 문 전 대표는 차기 정부에서 사드 문제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문 후보 캠프의 총괄본부장인 송영길 민주당 의원은 이와 관련, “(문 전 대표의 입장이) 사드 철회라 단정할 수는 없다. 중국에 가서 북 핵실험을 막아달라고 압력을 넣어야 한다”며 “사드를 외교적 카드로 활용해 북핵중단을 이끌어내겠다”고 했다. 즉, 사드 배치를 중국 압박용 카드로 활용해 북핵문제 공조 체제를 강화하겠다는 게 문 전 대표 측의 방안이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한미 연합작전능력과 한미동맹에 기초한 현실을 우선 인정하되 장기적으로 자주국방 능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안 지사는 사드 배치가 박근혜 정부의 대표적인 실정(失政)이지만, 양국 간 합의된 협정은 존중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안 지사는 이날 토론회에서도 “박 대통령이 저지른 잘못 중 가장 골 아픈 잘못이 사드 문제”라면서도 “한미동맹에 기초한 안보국방 현실을 인정하자. 장기적으론 전작권 등 자주국방 힘을 축적하겠다. 민주당과 진보진영에 대한 불신을 극복하자”고 제안했다.

이 시장은 민주당 후보 중 가장 명확히 사드 배치를 반대하고 있다. 안 지사는 이날 이 시장을 향해 “현 사드 문제를 한미동맹의 중국봉쇄라고 단언해 놀랐다. 그렇게 단언하면 한미동맹은 무조건 중국봉쇄 연합작전이 된다”고 비판했다.

이 시장은 문 전 대표를 향해선 “정치인들이 자기 생각을 말하지 않고 있다. 문 전 대표는 자꾸 (차기정부에) 넘기라고 하는데, 정말 사드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는지 궁금하다”고 문 전 대표의 ‘전략적 모호성’을 정면 비판했다.

안 지사의 비판과 관련해선 “현재 상태가 더 위험하다. 지금 원점으로 되돌리지 않으면 향후 중미 분쟁에 한국이 휘말리게 된다”고 응수했다. 이 시장은 이날 후보들을 향해 미국의 사드 배치 반대 및 중국의 경제보복 금지 등을 두고 공동 입장을 내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