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국민의당 경선룰 협상 지연 유감
국민의당 대선 경선룰 협상이 난항이다. 국민의당에 입당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전 공동대표 측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지난달 28일을 마감기일로 정했던 경선룰 도출은 5일로, 8일로 두차례 미뤄졌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전에는 반드시 룰을 만들어내겠다는 입장이지만 이 역시도 난망해졌다.

지난달 22일 시작된 경선룰 협상은 처음에는 순항하는 듯했다. 첫 경선룰 협상에서 후보 대리인들은 ‘8일까지 경선룰을 만들어내고, 이후 경선관리를 중앙선관위에 위탁한다’고 합의했다. 중앙선관위가 모바일 투표에 대해 관리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이 합의는 손 전 대표가 경선룰 협상 전 부터 강하게 요구했던 ‘모바일 투표 배제를 안 전 대표 측이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됐다. 안 전 대표 측은 현장투표 40%, 여론조사 30%, 공론조사 30%로 후보를 선출하자는 안을 내놨고 손 전 대표 측은 여론조사와 공론조사를 뺀 현장투표 80%, 숙의배심원제 20%를 제안했다. 당초 100%현장투표를 주장하던 손 전 대표측은 숙의배심원제 도입을 두고, 안 전 대표측의 요구의 일부를 받아들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양측의 양보는 딱 거기까지 였다. 이후에는 서로 한 발자국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결국 대선기획단이 정한 경선룰 협상 타결 데드라인인 28일과, 5일 모두 넘겨버렸다. 특히 5일에는 경선룰 태스크포스(TF) 팀장인 이용호 의원이 ‘여론조사 25%, 현장투표 75%’를 중재안으로 제시했지만 양 측 모두 제안을 거부했다.

결국 ‘기득권’의 문제다. 국민의당 내 지분이 큰 안 전 대표 뿐 아니라 손 전 대표에도 해당되는 얘기다. 안 전 대표 보다 이른바 ‘조직’에 이점이 있는 손 전 대표 측은 현장투표의 비율을 올리려고 하고 인지도에 있어 강점이 있는 안 전 대표 측이 여론조사 비율을 높이려 하고 있다는 해석이 많다.

국민의당 대선주자들 모두가 아름다운 경선과 강한 경선을 치르겠다며 룰 협상을 하고 있다. 후보간 경쟁을 통한 시너지 효과로 당과 최종 후보의 지지율을 높이는 것이 주요 목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선 양측의 통 큰 양보가 필요해 보인다. 경선룰 협상 자체가 늘어지면 후보간 네거티브 공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고, 국민의 머릿속에는 ‘아름다운 경선’보다는 ‘후보자들의 욕심’만 새겨질 가능성이 크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