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법무장관 “수사 맘대로 해봐라”…러시아 내통 부인
대선기간 러대사 내통의혹 확산
“만남과 내통은 다르다”
기자회견 자청 정면돌파 분석
트럼프 “세션스 전적으로 신뢰”


제프 세션스 미 법무장관이 지난해 대선 기간에 러시아 주미 대사와 두 차례 만나 내통했다는 의혹이 확산되자 기자회견을 자청해 적극 해명했다. 마이클 플린 전 국가안보보좌관이 ‘러시아 내통’ 의혹으로 사퇴한 이후 같은 논란이 불거지자 정면돌파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AP 통신 등에 따르면, 제프 세션스 법무장관은 이날 오후 법무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러시아와 내통 혐의에 대해 “그렇지 않다”고 전면 부인했다. 그는 “나는 트럼프 선거운동과 관련해 러시아의 어떤 공작원이나 중개인을 만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법무부의 러시아 해킹에 대한 미 대선개입 의혹 수사에서 일체 손을 떼겠다고 밝혔다. 

러시아 내통과 위증 의혹을 받고 있는 제프 세션스 미 법무장관이 2일(현지시간) 기자회견 중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워싱턴=AFP연합뉴스]

세션스 장관은 “저는 앞으로 미 대선 관련 현재, 미래의 어떤 수사든 손을 떼겠다”며 “법무부장관 대행이 관련 수사를 책임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1일 워싱턴포스트(WP)는 세션스 법무장관이 지난해 트럼프 캠프에서 활동하면서 세르게이 키슬략 주미 러시아 대사와 두 차례 만나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고 보도했다. 양측 만남은 지난해 7월 공화당 전당대회 현장, 9월 세션스의 의원 사무실에서 이뤄졌다고 WP는 전했다. 관련 의혹은 이미 FBI, CIA 등 미 정보당국이 조사했다고 WSJ도 보도했다.

세션스 측은 ‘만남’과 ‘내통’은 다르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세션스 장관은 미 상원 군사위원이면서 트럼프 캠프의 외교정책 고문을 겸임했다. 법무부 측은 전날 미 군사위원으로 러시아 대사와 만난 것은 맞지만, 트럼프 캠프 일원으로 접촉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세션스 장관은 상원 법사위 인준 청문회에서도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그는 지난 1월 10일 청문회에서 러시아 측 인사와 만났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세션스 장관은 “상원 청문회 질문을 상원 군사위원으로서가 아니라 트럼프 캠프 일원으로 만났는지 질문으로 이해했었다”고 해명했다.

지난달 트럼프 정부의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었던 마이클 플린의 사임도 키슬략 대사와 플린이 만났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플린 전 보좌관은 러시아 대사와 접촉해 대(對) 러시아 제재 해제를 논의한 사실이 폭로됐고, 펜스 부통령과 백악관 관계자들에게 거짓말을 했다가 궁지에 몰려 퇴진했다. 그의 퇴진 이후 허버트 맥마스터 신임 국가안보보좌관이 임명됐다.

플린 전 보좌관에 이어 세션스 장관의 러시아 내통 의혹에 민주당은 세션스가 즉각 사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의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는 “세션스 장관은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설에 대한 수사를 지휘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해졌다”며 장관직 사퇴를 촉구했다. 같은 당 낸시 펠로시 하원 원내대표는 “의회에서 한 맹세를 거스르는 위증만으로도 사임할 근거가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세션스를 적극 옹호했다. 그는 2일 ‘세션스 장관을 여전히 신뢰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전적으로(total) 그렇다”고 답변했다. 세션스 장관의 주미 러시아 대사의 접촉 사실을 알았느냐는 질문에는 “전혀 알지 못했다”고 밝혔고, 또 그가 청문회서 진실하게 증언했다고 보느냐고 묻자 “아마도 그렇게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션스 장관이 트럼프 정부의 ‘러시아 커넥션’ 의혹 수사에서 손을 떼야 하는 질문에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기자회견에서도 ‘러시아 측과 접촉한 캠프 관계자가 있느냐’는 질문에 “내가 아는 한 없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부인했지만 정치적으로 힘든 상황에 처한건 사실이다. 러시아의 미 대선 해킹 관련 수사가 진행중인 가운데, 측근그룹의 잇따른 친러 논란으로 궁지에 몰리고 있다.

WSJ이 2일 트럼프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지난해 10월 친러 성향 인사가 주최한 행사서 연설 대가로 최소 5만 달러(5737만원)를 받았다고 보도하는 등 트럼프 일가의 친러 의혹까지 더해졌다. 

조민선 기자/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