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中의 사드보복 비판 “비이성적이고 부적절”
-국무부 대변인 “상황 면밀히 주시”
-난퉁 번호판 붙은 현대차 파손
-中 언론 “한국에 교훈 줘야하지만 폭력은 안돼”


[헤럴드경제=신수정 기자] 미국 정부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로 인한 중국의 한국 보복조치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중국 관영 언론은 자국민들을 향해 현대차 파손과 같은 폭력 행위는 자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2일(현지시간) 미국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연합뉴스의 관련 논평 요청에 “우리는 한미동맹의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해 중국이 한국의 민간 분야 기업에까지 조치를 취했다는 보도에 우려하고 있다”며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 한 식당에 붙은 ‘한국 손님 거부’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이 관계자는 “사드는 명백하고 무모하며 불법적인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신중하고 제한된 자위 방어적 조치”라며 “이를 비판하거나 자위적 방위조치를 포기하라고 한국에 압력을 가하는 것은 비이성적이고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미국 정부가 중국의 사드 보복조치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작심하고 비판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미국 정부는 그동안 사드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방어적 수단으로, 중국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지난달 1일 한국 방문 당시 “북한의 도발적 행동이 아니라면 사드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북한 말고 다른 나라들은 사드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중국은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를 비롯 한국 기업에 대해 각종 제재 조치를 내린데 이어 최근에는 한국 여행도 금지했다.

한편 3일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전날 부서진 현대차 사진이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며 이같은 기물 파손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타임스는 “롯데에 대한 불매 운동 등 한국에 대한 제재가 중국 내에서 시작됐다”며 “한 국가가 지정학적인 이유로 제재를 가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신문은 한국 기업이나 한국인들에 대한 불법적인 공격이나 모욕은 피하고, 한국에 대한 제재가 효과적이고 질서있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타임스는 난퉁 지역 번호판이 붙은 현대차가 파손된 일은 ‘최악의 사례’이자 ‘창피한 일’이라며, 지역 경찰이 즉시 조사해 처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글로벌타임스는 “만일 이번 일이 사드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 용서해서는 안된다”며 “외국 자동차를 부수거나 외국인이 운영하는 상점을 공격하는 것은 도덕적 우위를 잃게 하고 중국에 대한 비난의 빌미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타임스는 “사드 관련 제재는 중국 내 평범한 한국인이 아니라 정부나 한국 경제에 타격을 줄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며 “우리는 한국인들에게 교훈을 줘야지 신체적 공격이나 면전에 대고 욕하는 것을 용납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또 “공공 캠페인에 있어 극단적인 말과 행동을 피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면서도 “사드에 따른 한국에 대한 제재는 중국 사회의 진보를 보여줄 시험대”라고 밝혔다.

ss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