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군사대응 포함 대북정책 전면 재검토”…韓ㆍ日 ‘초긴장’
-WSJ “백악관 대북정책 재검토 돌입”
-군사제재 가해질 수도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최근 북한의 도발과 핵무기 위협을 둔화시키기 위해 대북 정책의 전면 재검토에 들어갔다고 1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백악관은 군사력 동원을 비롯해 김정은 체제의 ‘정권 교체(regime change)’ 가능성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사진제공=AP]

WSJ에 따르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캐슬린 맥팔랜드 부보좌관은 정부의 안보 담당자에게 다양한 대북 전략을 제출하라고 지시했다. WSJ은 “맥팔랜드 부보좌관이 국가안보회의를 열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대북 방안을 내놓을 것을 지시했다”며 “이는 트럼프 정부가 대북 정책을 재검토한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이에 백악관 국가안보실 관계자들은 지난달 28일 맥팔랜드 부보좌관이 지시한 대북 정책 보고서를 제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첫 의회 연설에서 대북 정책 언급을 빼놓은 것도 아직 대북 정책에 대한 ‘큰 그림’이 잡히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미국 안보팀 관료들은 ‘군사력을 동원한 대북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아시아 정세가 불안정해지면서 무력 제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12일 북한은 미사일을 발사했고, 지난 13일 김정은의 이복형 김정남이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중국과 북한 간 관계도 변화를 겪고 있다. 중국은 최근 북한으로부터 석탄 수입량을 축소하는 등 제재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10~12일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과 일본의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정상회담에서도 북한의 군사 제재 가능성이 언급됐다.

WSJ은 미일 정상회담 참석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이틀간 개최된 정상회담에서 북한을 다루는 방식에 대해 모든 방안의 검토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또 WSJ은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들은 최근 북한의 도발에 대한 외교경제 압박을 강화하려 미국과 공조해 왔지만 새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 재검토로 급격한 변화를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