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탄핵심판] 긴장감 도는 헌재… 재판관 8인 신변보호 주력
-노무현 탄핵사건 땐 경호요청 안해
-2014년 통진당 해산 당시 첫 개별경호

[헤럴드경제=김현일 기자]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의 선고 시기가 가까워지면서 헌법재판소가 만일의 불상사를 대비해 경호강화에 나섰다.

헌재에 따르면 헌법재판관 8인은 신변 보호를 위해 이미 22일부터 개별 근접경호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사건 땐 재판관마다 개별 경호까지 하진 않았지만 2014년 통합진보당 해산심판 사건 당시엔 경찰에 요청해 개별 경호를 실시한 전례가 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을 심리 중인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전경. [사진=헤럴드경제DB]

헌재는 지난해 12월 탄핵소추의결서가 접수된 직후 박한철 당시 소장 외에도 재판관들을 각각 경호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탄핵심판이 막바지에 이르자 탄핵 인용과 기각을 주장하는 시위대가 청사 주변으로 몰려 들면서 충돌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탄핵심판 초반엔 피켓을 든 채 혼자 ‘침묵시위’를 하는 모습이 이따금씩 보였지만 최근엔 보수단체를 중심으로 청사 앞에서 확성기를 이용해 애국가를 틀고 탄핵기각을 외치는 등 점차 격화되는 양상이다.

이정미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최근 변론에서 “심판정 밖에서 시끄러운 고성으로 업무를 방해하고 있다. 업무에 방해되니까 자제해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한 바 있다.

헌법재판소 정문 앞에서 집회 중인 박근혜 대통령 탄핵반대 시위대. [사진=김현일 기자/joze@heraldcorp.com]

불상사를 우려한 경찰은 헌재의 요청을 받아 청사 안팎에도 병력 배치를 점차 늘리고 있다. 실제로 지하철 3호선 안국역에서부터 헌재 청사 입구까지 경찰 병력이 늘어선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심판정 내에서도 재판을 방해하는 방청객들이 늘어나자 16차 변론이 열린 지난 22일엔 심판정 앞에 십여 명의 경찰 병력이 대기하기도 했다.

한편 지난 달 31일 박한철 전 소장의 퇴임식 당일에도 청사 바로 앞에선 태극기와 미국 성조기를 든 시위대들이 ‘탄핵기각’을 외치며 조롱 섞인 괴성을 지르는 모습을 보였다.

joz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