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트럼프 “안보는 强, 경제는 强强”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주말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안보동맹을 재확인하면서도 경제 분야에서는 ‘미국 우선주의’의 확고한 원칙을 견지했다. 안보를 제공하는 대신 경제 분야의 이익은 확실히 챙기겠다는 것이다. 이는 아시아 동맹국가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이기도 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미일 정상회담에서 “일본은 중요하고 흔들림 없는 동맹”이라면서 “우리는 일본과 일본 정부의 통제 아래 있는 모든 지역의 안보와 우리의 매우 중요한 동맹을 더욱 강화할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또한 일본이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센카쿠열도가 미일 안보조약 제5조에 적용됨을 확인함으로써 일본을 지지하고, 미국이 아ㆍ태 지역에서 향후 영향력을 강화한다고 명시함으로써 일본과 함께 ‘중국 견제’에 뜻을 모았다.

반면 경제 문제에 대해선 단호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양국 경제 모두에 혜택을 주는, 자유롭고 공정하며 상호적인 무역관계를 추진하기로 했다”며 대일 무역 적자 개선을 위한 통상 압박을 강화할 뜻을 내비쳤다. 일본이 중점 추진하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미국의 탈퇴를 선언한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 양자 무역협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다자 무역보다는 양자 무역이 미국에 더 큰 이익을 가져다준다는 인식 때문이다. “조공외교”라는 비난도 무릅쓴 채 70만개 일자리 등 선물 보따리를 챙기며 TPP 문제를 설득하겠다던 아베 총리는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뜻에 따르게 됐다. 로이터통신은 “수십 년간의 동맹에 흔들림이 없음을 확인하려 한 아베의 승리”라고 했지만 다른 외신들은 “무역 문제는 더 불안해졌다”고 했다.

문제는 이같은 구도가 남의 나라 일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이다. 이번 미일 정상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아시아 정상과 가진 첫 회담인 만큼 앞으로 트럼프 정부의 대(對)아시아정책을 가늠할 수 있는 계기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인 일자리 킬러’라고 지목한 한미 자유무역협정 개정과 한국을 향한 통상 압박도 머지않아 닥칠 수 있다.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은 대미 수출 규모가 큰 한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정책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위기가 다가오기 전, 치밀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