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철강협회, 인도와 제1차 철강협력회의 개최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한국철강협회는 9일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사낙 미슈라(Sanak Mishra) 인도철강협회 사무총장을 단장으로 한 인도 철강대표단과 ‘제1차 한-인도 철강협력회의’를 개최했다.

인도는 세계 3위 철강시장으로 2030년까지 8% 이상 고성장이 기대되는 곳이다. 또 2016년 대(對)인도 철강 수출액이 149억 달러(한화 약 17조426억원)로 대한민국 제4위 수출시장이다.

한국철강협회는 9일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사낙 미슈라(Sanak Mishra) 인도철강협회 사무총장을 단장으로 한 인도 철강대표단과 ‘제1차 한-인도 철강협력회의’를 개최했다.

그러나 현재 인도정부는 외국산 철강제품에 강력한 수입규제를 시행 중이며, 국내 주력 수출품목이자 포스코(마하라슈트라), 현대자동차(첸나이) 등 현지 투자공장용 소재인 열연강판과 냉연강판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한국철강협회는 지난해부터 인도 철강업계와 협력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이날 양국 철강협회간 업무협약(MOU)을 체결, ‘제1차 한-인도 철강협력회의’를 개최하게 됐다.

제1차 회의에서 인도대표단은 인도의 철강수요를 2030년까지 현재 8200만톤의 3배 수준인 2억1000만톤에서 2억5000만톤까지 확대시킨다는 장기 마스터플랜을 설명하고 한국 측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희망했다.

이에 대해 송재빈 한국철강협회 부회장은 “금번 양국간 회의를 계기로 교역과 투자 모든 면에서 상호 윈윈하는 협력모델로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면서 “3월로 예정돼 있는 열연강판 등에 대한 반덤핑 조사가 원만하게 마무리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인도 대표단은 또 선진 철강국인 한국과의 기술교류 활성화를 제안했으며, 한국철강협회 송재빈 부회장은 인도 측의 기술교류 확대 제안에 대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극 협력하겠다고 화답했다.

앞으로도 철강협회는 통상협력 뿐만 아니라 기술교류 등 분야에서도 인도 측의 요구를 적극 수용해 인도의 거센 철강통상압력을 완화시키고 상호 도움이 되는 협력방안을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한편 2014년 8월에 설립된 인도철강협회는 타타스틸, 진달, 세일, 에사르, 이스팟 등 조강능력 200만톤 이상의 국영 및 민간제철소 모두가 포함된 인도를 대표하는 철강단체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