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의 ‘동아시아 국제사회조사 참여 및 가족태도 국제비교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4.13총선 당시 가족끼리 정치토론을 ‘별로’ 혹은 ‘전혀’ 하지 않는다는 사람 중 투표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76.8%, 68.5%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우 자주’ 혹은 ‘가끔’ 했다고 응답한 사람 중 투표를 한 응답자의 비율은 각각 87.3%, 87.8%로 더 높았다.
가장 낮은 ‘전혀’하지 않은 가족과 비교하면 최대 20%포인트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이다.
가족끼리 정치와 관련한 대화를 자주 할 수록 선거에 관심을 갖고 투표를 했다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대화를 많이 나눈다고 해서 정치 성향이 완전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가족 간 정치토론을 매우 자주 하거나 가끔 하는 사람들은 같은 후보를 지지했다는 응답이 각각 54.6%, 55.1%로 나타났다.
그런데 정치토론을 전혀 하지 않는다는 사람들이 오히려 같은 후보를 지지한 경우가 5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치토론을 별로 하지 않는다는 사람들이 같은 후보를 지지했다는 응답은 43.9%였다.
한편 ‘정치인들은 나라 걱정을 하기보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 ‘정치인이 좋은 말을 하는 것은 단지 표를 얻기 위한 것이다’라는 의견에 대해 ‘매우그렇다’(7점)부터 ‘전혀 그렇지 않다’(1점) 중 7∼4점으로 응답한 비율이 94.6%, 94.7%로 정치에 대한 냉소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가족 간 정치토론을 매우 자주 하는 집단과 전혀 하지 않는 집단에서 정치에 대한 냉소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정치적 대화를 많이 하는 집단에서 정치적 냉소가 높게 나타난 것은 대화할수록 관련 지식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정치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화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이 조사는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지난해 6∼7월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52명을 상대로 이뤄졌다.
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