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일형 금통위원 “소득증대 없는 금융부채 증가, 금융안정에 잠재적 위협요소”
-“고령화 사회 진입, 가계 저축 늘려야”
-“통화정책에 기댄 성장, 경계 필요”

[헤럴드경제=황유진 기자] 소득 증대와 연결되지 않는 금융부채 증가가 금융안정에 잠재적인 리스크(위험요인)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일 이일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서울시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과 오찬간담회에서 “완화적 통화정책이 금융부채 증가로만 이어지고 소득증대로 이어지지 못할 경우에 중장기적으로 금융 불안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기 이후 확대된 금융부채와 소득불균형이 소비심리를 위축시키는 구조적인 문제에 봉착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소득 증대 없는 부채 증가가 금융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이 위원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는 사회 구조상, 가계가 저축을 늘릴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융부채로 인한 부동산 투자 확대가 지속할 수 있게 하려면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부의 효과를 통해 소비가 늘고 소득증대로 이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한다 해도 가계가 저축량 부족으로 미래에 대해 불안하게 느끼면 금리 인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는 해석이다.

또, 이 위원은 “통화정책을 통해 장기적 경제성장을 움직임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굉장한 착각”이라며 통화정책에 기댄 경제성장에 대해서 경계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그는 통화정책이 가장 주력해야 할 부분은 ‘물가’라고 설명했다.

미국의 금리상승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한국 경제에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우리나라의 해외투자가 많이 늘어난 것과 관련해서는 ”순저축이 해외로 이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고령화 대비에 굉장히 도움이 된다”고 해석했다.

hyjgo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