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럼프, 에너지산업+철강업 두마리 토끼 잡는다

-‘환경파괴 논란’ 송유관 사업 재개 행정명령 서명
-일자리+철강업 활성화 “파이프는 모두 미국산 철강으로”
-한국 철강업체 비상 “美 기업과 협력 필요”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 취임 후 광폭행보를 보이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이번에는 에너지산업 분야 공약인 송유관 프로젝트 재개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 내 인프라 사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연관 수요 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노린 행보다. 하지만 오바마 정부가 환경오염을 이유로 제동을 걸었던 사업으로, 취임 첫주부터 환경보호론자 등의 격렬한 반대시위에 직면했다.

24일(이하 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WSJ), CNN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키스톤 XL 송유관’과 ‘다코타 대형 송유관’ 신설을 재협상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정치, 경제, 사회 분야에 이은 환경, 에너지 분야의 ‘오바마 레거시(업적) 지우기’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사진=게티이미지]


키스톤 XL 프로젝트는 캐나다 앨버타 주부터 미 네브래스카 주를 잇는 송유관 신설 사업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캐나다산 원유 수송이 가능해져 하루 83만 배럴의 원유가 미국에 들어오지만 오바마 정부가 환경오염을 이유로 사업에 제동을 걸었다.

인디언 보호구역인 스탠딩 록 구역을 지나는 다코다 송유관도 아메리칸 원주민 문화유적 파괴 우려를 이유로 사업이 중단됐다. 오바마 정부가 환경오염 등을 이유로 막은 사업을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첫 주 재개를 선언한 것이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내 송유관에 미국산 철강을 사서 써야 한다”는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 원칙도 강조했다. WSJ은 “이 사업을 통해 에너지 산업을 살리면서 미국 철강업까지 동시에 활성화하겠다는 복안이 깔려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선거운동 당시 키스톤을 방문해 “국가의 규제로 인해 엉망진창이 됐다. (송유관 사업) 관련 규제를 간소화하겠다”면서 “또한 미국에서 제작되는 모든 송유관을 미국의 철강으로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내 인프라 산업 활성화를 통한 수혜는 미국 기업들에게 몰아주겠다는 원칙이다.

해당 지역 원주민과 환경단체는 즉각적으로 반발하고 나섰다. 스탠딩록의 원주민 수(Sioux)족 단체의 데이브 아참 볼트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의 조약상 권리를 준수하고 송유관 건설을 공평하고 합리적으로 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다”며 “현재의 경로는 우리의 조약상 권리에 반하며 우리의 물과 하류에 있는 미국인 1700만명의 물을 오염시킨다”고 비판했다.

환경단체 ‘차세대기후’의 톰 스타이어 회장 역시 “트럼프 정부가 기업의 이익을 미국의 이익에 앞세운다”며 “이 송유관들은 위험이 많고 득이 될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CNN은 취임 전부터 불거진 반(反)트럼프 시위가 이번 환경 이슈를 계기로 더욱 확산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마이웨이’는 반대여론에 아랑곳하지 않고 지속될 전망이다. 트럼프는 지난해 대선공약으로 에너지산업 육성을 주요 내용으로 앞세워, 취임 100일 내 화력발전 관련 각종 행정명령을 폐지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또 파리기후협정 탈퇴 및 유엔 녹색기후기금 출연 중단, 미국 내 화석에너지 탐사개발 관련 규제 완화, 국유지 자원개발 허가 동결 해제, 석유, 가스, 석탄 개발 관련 환경규제 완화 또는 폐지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취임 첫 주의 정치, 경제, 사회, 환경 등 전 분야를 아우르는 광폭행보를 볼 때, 다른 공약들도 빠른 속도로 현실화될 것이라고 WSJ은 설명했다.

국내 산업계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특히 트럼프의 인프라 재건 공약에 기대를 걸었던 철강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트럼프가 미국 인프라 재건에 1조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밝히면서 우리 철강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하지만 이번 송유관 프로젝트와 같이 트럼프가 미국산 철강재 사용을 강조하면서, 한국 업체들은 그로인한 수혜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향후 전개될 인프라 사업에 미국 기업 참여를 우선시하는 원칙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 기업들은 미국 기업과 손을 잡아 진출하는 등 현지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