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앙통합방위회의’ 거른 朴대통령
1·21 사태때 朴전대통령 창설
매년 챙겼지만 직무정지로 불참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0차 중앙통합방위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로 권한 정지된 박 대통령 대신 황교안 권한대행이 주재했다. 이 회의는 박 대통령의 선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창설했다. 박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들과 달리 매년 이 회의를 주재하며 각별한 애정을 보여왔다는 점에서 미묘한 여운을 남긴다.

통합방위회의의 시초는 지난 1968년 김신조 등 북한 무장공비가 청와대를 습격한 1ㆍ21 사태가 계기가 됐다. 이후 무장공비 침투 대비책 마련을 위해 박 전 대통령이 처음 연 치안관계관회의가 시발점이다.

이후 매년 1월21일을 전후해 통합방위중앙회의라는 이름으로 열리다 지난 2010년 현재의 중앙통합방위회의로 명칭이 바뀌었다.

국무총리와 합참의장이 각각 의장과 통합방위본부장을 맡는 통합방위회의는 시ㆍ도지사와 국무위원, 군 주요지휘관, 경찰 주요간부, 국가중요시설 대표 등 민ㆍ관ㆍ군ㆍ경이 한자리에 모여 국가 통합방위전력을 점검하고 대비방향을 제시하는 자리다.

박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은 재임 중 매년 통합방위회의를 직접 챙겼다. 그러나 87년 체제 출범 이후에는 통상적으로 대통령은 정부 출범 초기에만 참석하고 다른 해에는 총리가 주재하는 게 관례로 자리 잡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4년,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9년과 천안함 침몰 사건과 연평도 포격전이 있었던 이듬해인 2011년 각각 회의를 주재한 바 있다.

신대원 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