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ICBM 도발조짐
美위성, 추진체 이동정황 포착
트럼프취임 앞두고 무리수 우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추진체로 보이는 물체를 모처로 이동 중인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3단형인 KN-08과 그 개량형인 KN-14보다 짧은 2단형이거나 1단형 ICBM의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가 예상보다 일찍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9일 군 정보당국에 따르면 평안북도 일대의 미사일 기지에서 ICBM의 1단 추진체로 보이는 물체가 군용트럭에 실려 이동 중인 모습이 미 정찰위성에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정보 고위 관계자와 한미 군사외교 소식통은 북한이 신형 탄도미사일 2기를 제작했다고 전했다. 미사일 2기는 이동식 발사대가 장착된 차량(TEL)에 탑재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명령만 내리면 발사할 수 있는 상태를 갖춘 것으로 전해졌다. 합동참모본부는 이와 관련해 “정찰위성에 포착된 물체는 하단체 등 미사일은 아니다. 정확히 확인 중”이라면서 “신형 ICBM을 포착했다는 정보에 대해 확인된 바는 없다”고 밝혔다.

북한은 앞서 지난해 4월 신형 ICBM 대출력 엔진(발동기) 지상분출 시험 장면을 공개했다. 당시 전문가들은 북한이 해당 로켓을 ICBM 1단 추진체로 사용해 1~2년 내에 신형 ICBM을 개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의 김동엽 교수는 “발사체가 17~18m보다 작다면 지난해 4월 북한이 공개한 엔진을 추진체로 장착한 발사체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당초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해 초 이동식 ICBM부대인 ‘KN-08’ 여단을 창설해 사실상 실전배치 단계에 들어갔다고 진단했지만, 단 한 차례의 시험발사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북한이 새로운 엔진을 탑재한 ICBM을 시험발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ICBM 도발을 감행한다면 1~4월 사이 추진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당장 오는 20일 북한에 강경대응을 시사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차기 대통령이 취임하는 데다 2월에 북한의 내부 정치행사가 몰려있기 때문이다. 또, 3월에는 한미연합훈련인 키리졸브 연습이 실시된다. 지난 8일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대륙간탄도로케트(로켓)는 우리의 최고 수뇌부가 결심하는 임의의 시각, 임의의 장소에서 발사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재연 기자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