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비례대표 김현아’ 징계 논란…추가 탈당 놓고 새누리당ㆍ바른정당 수싸움
[헤럴드경제=유은수 기자] 새누리당과 바른정당이 김현아 비례대표 의원<사진>을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비례대표가 자진 탈당하면 의원직을 상실하는 법 조항 때문에 바른정당과 김 의원은 새누리당에 제명을 요구해왔지만, 새누리당은 지난 18일 김 의원에 당원권 정지 3년의 징계를 내렸다. 새누리당이 김 의원을 출당시킬 경우 추가 탈당을 감행할 ‘잠재적 탈당파’를 사이에 둔 공방으로 분석된다.



새누리당 윤리위원회는 지난 18일 회의를 열어 “김 의원은 비례대표 의원직 사수를 위해 자진 탈당을 하지 않고 적반하장식 제명을 스스로 요구하는 등 비윤리적 행위를 지속한 책임을 물어 당원권 정지 3년의 중징계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소속의 김 의원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확산되자 당 대변인 직을 사퇴했고, 비박계가 분당해 신당을 만들 때부터 공개적으로 합류를 밝히고 활동해왔다.

이를 두고 장제원 바른정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새누리당은 김현아 죽이기를 멈추고 스스로를 돌아보라”며 “소신과 양심에 따라 정치하는 김 의원에게 비열하고 속 좁은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맹렬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은 자신들의 기득권 지키기에 양심 있는 젊은 정치인을 볼모로 잡지 말고 바른 정치를 할 수 있도록 놓아달라”고 촉구했다.

새누리당의 징계 결정엔 비례대표 의원이 자진탈당하면 의원직을 상실하고, 당에서 출당시킬 경우 당적을 옮길 수 있는 선거법 조항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도부가 바른정당의 요구대로 김 의원을 제명시킬 경우 ‘릴레이 출당 요구’가 이어질 것을 우려해 ‘경고성 징계’를 내렸다는 분석이다. 분당 전 비박계 모임에 참여했던 새누리당 내 비례대표 의원은 3~4명에 달했으나 분당 뒤 바른정당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건 김 의원 혼자다. 다른 의원들은 탈당에 따른 의원직 상실, 보좌직원 면직 등 후폭풍 때문에 숨 죽이며 다음 행보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석이 아쉬운 새누리당과 바른정당으로서는 김 의원의 거취에 신경이 곤두설 수밖에 없는 셈이다.

김 의원은 새누리당의 결정에 대해 본지 통화에서 ”보수당 혁신도 제 소신인데 새누리당 안에서는 그게 불가능하다고 봤다“며 ”새누리당 지도부는 입맛에 맞는 비례대표 의석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것 아닌가. 내가 잘못했다면 윤리위가 그에 맞는 법적 조치를 하면 되지 내게 (당을) 나가라 마라 할 일은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양심에 따라 소신껏 정치 할 것”이라며 계속 바른정당에서 활동할 뜻을 확고히 했다.

y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