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국 대예측]또다시 ‘야권통합’…답습할까, 파괴될까?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한국사회가 대선을 겪을 때마다 야권통합은 빠지지 않은 정국 변수로 거론된다. 대선을 목전에 둔 신년 역시 마찬가지다. 이번 대선은 좀 더 복잡한 형국이다. 5당 체제가 등장하고, 결선투표제가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이 모든 게 야권통합과 맞닿아 있다. 

▶민주당발(發) 야권통합 포문 = 야권통합의 주축은 제1당인 더불어민주당이다.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는 야권통합을 논의할 시기로 ‘1월’을 못 박았다. 신년 정국의 주요 화두로 야권통합을 다루겠다는 의미다.

야권통합의 주된 논거는 결국 ‘뿌리’에 있다. 지난해 2월 국민의당이 창당하기 전까지도 민주당과 국민의당 모두 한 뿌리에서 나왔다는 이유다. 만약 정권교체에 실패한다면 민주당, 국민의당 모두 공동책임을 져야 한다는 이유도 있다.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는 “정권교체가 되려면 지금처럼 야권이 분열돼 있는 상황에선 승리의 전망이 갈수록 낮아진다”고 했다.

국민의당은 우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일각에선 “민주당이 주장하는 야권통합은 곧 ‘흡수통합’”이라는 불만까지 나온다. ‘친문 계파주의’라 반발하며 창당한 국민의당으로선 문재인 전 대표가 유력 주자인 민주당으로 들어갈 명분도 이유도 없다는 반발이다. 한 야권 의원은 “만약 민주당 대표 주자로 문 전 대표가 아닌 다른 후보가 나선다면 야권통합이 불가능한 건 아니다”고 했다.

▶결선투표제, 야권통합 주요 변수 = 결선투표제는 대선 룰과 관련된 규칙이지만, 곧 야권통합과도 맞닿아 있다. 야권통합의 주된 동력은 결국 ‘대선 후보’이기 때문이다. 결선투표제는 1위 후보가 과반 혹은 일정한 득표를 얻지 못하면 상위 후보끼리 결선 투표를 실시하는 방식이다. 2차 투표에서 자연스레 후발 주자의 연대가 이뤄지기 때문에 굳이 대선 전 후보를 단일화할 필요가 없다. 즉, 야권통합의 주요 동력이 없어지는 셈이다.

분당으로 생긴 군소정당이 결선투표제를 강하게 주장하고, 상대적으로 거대정당이 망설이는 건 정치공학적으로 당연한 결과다. 군소정당은 굳이 거대정당에 통합하지 않더라도 현 구조대로 선거에 임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대선 국면에서 ‘당 대 당 통합’과 결선투표제는 대척점에 있는 셈이다. 현재 결선투표제에 적극적인 건 국민의당과 정의당이다.

▶진보ㆍ보수 경계 흔들, ‘야권’ 통합은 어디까지? = 야권통합론과 관련, 또 하나 관건은 ‘야(野)의 규정’이다. 즉, 통합 혹은 연대의 대상을 어디까지 볼 수 있는가다. 비박계가 주축이 된 개혁보수신당(가칭) 출범이 이를 촉발시킨 계기였다. 신당은 최근 ‘깨끗한 보수, 따뜻한 보수’를 핵심 가치로 정했다. 경제민주화 역시 주된 목표로 삼았다. 기존 야권과도 연대할 접점이 적지 않다.

‘진보ㆍ보수’의 2당체제에서 ‘진보ㆍ중도ㆍ보수’의 3당체제로 변화했다면, 이젠 아예 ‘진보ㆍ보수’란 구분법으로는 해석하기 어려운 다당제 구도가 된 정국이다.

민주당은 신당 역시 박근혜 정부의 공동 책임자란 기류가 강하다. 민주당의 통합 혹은 연대의 대상은 새누리당과 신당을 제외한 세력이다. 국민의당은 각이 다르다. 새누리당은 친박으로 규정하고, 민주당은 친문과 비문으로 규정한다. 이를 전제한 국민의당의 연대 대상은 친박, 친문을 제외한 나머지 세력이다. 두 정당이 현 정치권을 구분하는 기준부터 다르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