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외 AI 인체감염증으로 785명 사망
-남인순 의원 “고병원성 N5N6아형 확산, 고위험군 대책 필요”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I)가 맹위를 떨치고 있는 가운데, 고병원성 AI 인체감염증으로 전 세계적으로 현재까지 785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AI 인체감염증은 AI에 감염된 조류 및 그 조류로 인해 오염된 분변, 먼지 등을 통해 사람을 감염시켜 갑작스러운 발열 및 호흡기 증상 등을 일으키는 감염병이다. 

[사진=123RF]

질병관리본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전 세계 AI 인체감염 및 사망 현황’에 따르면, 1998년 이후 12월16일 현재까지 세계 각국에서 고병원성 AI 인체감염은 총 1722명이며 이중 45.6%인 785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AI 아형별 인체감염증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H5N1아형 인체감염은 2003년 이후 이집트,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중국 등 16개국에서 총 856명 발생하고 452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H7N9아형 인체감염은 2013년 이후 중국, 말레이시아, 캐나다 등 3개국에서 총 816명이 발생하고 320명이 사망했다. 최근 국내 유행하고 있는 H5N6아형의 인체감염은 2014년 이후 중국에서 17명이 발생해 58.8%인 10명이 사망했다.

H9N2아형은 1998년 이후, 중국, 이집트, 방글라데시 등에서 30명이 발생해 1명이 사망했다. H10N8아형 인체감염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중국 장시성에서 총 3명이 발생해 2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발생국 현황을 보면, H5N1아형은 이집트에서, H7N9아형은 중국과 홍콩에서, H5N6아형과 H9N2아형 AI는 중국에서 발생했으며, H7N9아형과 H7N9아형 AI는 가족간, 병원내 제한적 전파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남인순 의원은 “질병관리본부에서 AI 인체감염 가능성에 대해 ‘감염된 조류에 노출되기 어려운 일반인의 감염 위험은 매우 적지만, AI 가금류에 직접 접촉한 고위험군은 산발적 감염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밝히고 있는 만큼 농장종사자와 가금류 살처분 참여자 등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각별한 예방대책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