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월 경상수지 87.2억달러, 서비스 수지 개선으로 56개월 연속 흑자 행진
[헤럴드경제=황유진 기자]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가 지난 10월에도 이어졌다. 서비스 수지가 개선된 영향으로 흑자규모도 전월 대비 소폭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2016년 10월 국제수지(잠정)’를 보면 지난 10월 상품과 서비스 등을 포함한 경상수지 흑자는 87억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로써 경상수지는 2013년 3월부터 56개월 연속 흑자를 내면서 최장 흑자 기록을 다시 세웠다.

[표=월별 경상수지/한국은행 제공]

흑자규모는 전월 대비로는 6억5000만달러 늘었지만 전년 동기(95억8000만달러) 보다는 감소했다.

상품수지는 9월보다 8억3000만달러 축소된 98억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10월 아이폰7이 출시된 영향으로 정보통신기기를 중심으로 수입이 늘어난 영향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10월까지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819억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10월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6.3% 줄어든 433억4000만달러였고 수입은 5.0% 감소한 335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은 9월에 전년동기대비 0.8% 감소했지만 10월엔 감소 폭이 다시 커졌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지속적인 해외수요 부진에다 10월 자동차 회사 파업과 태풍, 갤럭시노트7 단종 등으로 마이너스 개선세를 보이던 수출이 다시 나빠졌다”면서 “다만, 부정적 요인이 일시 반영됐기 때문에 11월에는 다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지난달 2010년12월 이후 최대 적자 규모(25억8000만달러)을 기록했던 서비스수지는 15억9000만 달러로 집계돼 적자폭이 10억달러 가량 줄어들면서 개선됐다.

여행수지는 여름 휴가 시즌이 끝나면서 9월 10억9000만달러에서 10월에는 5억달러로 감소했다.

운송수지는 한진해운 법정관리 여파로 2억4000만달러 적자를 냈던 9월보다 다소 개선돼 1억5000만달러 흑자를 냈다.

임금과 투자소득 등을 포함하는 본원소득수지의 흑자규모는 이자수입이 증가한 영향으로 전월 보다 8000만 달러 증가해 8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자본 유출입을 보여주는 금융계정은 70억4000만 달러 순자산 증가를 나타냈다. 다만 9월(95억8000만달러)보다는 증가 규모가 줄어들었다.

증권투자 중에서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66억1000만달러 증가했지만 외국인 국내투자는 32억5000만달러 감소했다.

외국인 국내투자 감소 규모는 9월(19억3000만달러)보다 크게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11월 미국 대선과 12월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한 경계감으로 채권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를 조정한 영향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26억2000만달러 늘었고 외국인 국내투자도 12억6000만달러 증가했다.

파생금융상품은 7억4000만달러 줄었다.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요인을 제거한 준비자산은 2억2000만달러 증가했다.

hyjgo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