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순대외채권 3835억 달러…사상 최대치 기록
[헤럴드경제=황유진 기자] 우리나라 외국에서 받을 채권에서 갚아야 할 채무를 제외한 순대외채권이 3800억 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9월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우리나라 순대외채권은 3835억달러로 지난 6월말보다 257억달러 증가해 역대 최대 행진을 이어갔다.

[그래프=순대외자산 금융 추이/한국은행 제공]

대외채권과 채무는 국제투자대조표상 금융자산(대외투자)과 금융부채(외국인투자)에서 직접투자와 만기, 금리 등이 정해져 있는 대출금, 차입금, 채권, 무역신용 등으로 집계한다.

만기 1년 이하의 단기외채는 1118억 달러로 전분기 대비 50억 달러 늘었다. 전체 대외채무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27.9%로 6월 말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작년 9월 말(29.1%) 이후 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단기외채 비중과 경상수지, 외환보유액 등은 한 국가의 대외지급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준비자산(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중은 9월 말 29.6%로 전 분기 말보다 0.7%포인트 올랐다.

한국은행은 단기외채비중과 비율이 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대외채권과 채무의 만기별로 차이가 있는 부분도 잔액으로 보면 대외채권에서 단기채권 잔액이 5463억달러인데 대외채무에서 단기채무는 1118억달러여서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외채의 건전성은 양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에 따르면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6월말 기준 중국은 23.2%, 일본은 205%, 인도는 22.6%, 브라질 17.5%, 멕시코 31.5%, 인도네시아 37.8% 수준이다.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은 9월 말 2192억 달러로 6월 말보다 149억 달러 감소했다.

3분기 중 원화절상과 주가상승에 따라 외국인 증권투자가 늘어 부채 잔액이 크게 증가한 영향이 컸다.

외국인이 한국에 투자한 대외금융부채는 9월 말 1조280억 달러로 6월 말보다 682억 달러나 늘면서 1조 달러 선을 돌파했다.

우리나라가 외국에 투자한 대외금융자산은 1조2472억 달러로 534억 달러 증가했다.

hyjgo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