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저금리의 종언] ‘마이너스 통장’ 필수시대…금리인상 기조에 가계신용 ‘경고등’
[헤럴드경제=황유진 기자] 직장인들의 필수품으로 통하는 ‘마이너스통장’ 대출 규모가 올해들어 10조원 이상 증가하는 등 급증 추세를 나타내고있으나 금리인상 기조와 맞물려 가계신용에 ‘경고등’이 켜졌다.

20일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마이너스통장 등 신용대출 잔액은 총 171조6000억원으로 연초 대비 10조원 늘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총 증가액 8조원을 넘어선 수준이다. 2014년 한 해 동안 약 2조 원 늘어나는 데 그쳤던 마이너스통장 대출 규모가 2년만에 5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우선 치솟는 주거비용이 마이너스통장 대출 규모 급증을 견인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KB국민은행 주택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올해 10월 전국 주택의 평균 전세금은 2억639만원으로 지난해 10월(1억8241만 원)보다 13% 올랐다.

[사진=게티이미지]


주택담보대출 등 은행권의 대출 규제에 따라 전세자금이나 기타 긴급한 생계자금을 융통하기 위해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마이너스통장 대출 등 신용대출이 크게 늘고 있는데도 소비 절벽 우려가 제기되는 데는 신용대출의 상당 부분이 생활비가 아닌 전세대출 용도로 쓰이는 등의 구조적인 이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권의 대출금리 인상 기조는 마이너스통장 대출로 긴급자금을 마련하고 있는 가계에 이자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오는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어 대출금리 인상은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돼 가계신용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출처=은행연합회]


마이너스통장 대출은 주로 신용대출로 이뤄지지만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도 예금 등을 담보로 개설할 수 있다. 금리가 다소 비싸더라도 여윳돈이 있을 때 원금 상환을 할 수 있어 당장 대출로 인한 가계 부담이 덜하다는 점에서 선호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마이너스대출 통장은 변동금리를 적용받고 있어 가계부담 우려는 더해진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9월 중 취급된 대출을 기준으로 마이너스통장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한국씨티은행으로 신용한도대출 평균금리가 5.75%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7월 씨티은행의 마이너스대출 평균금리인 5.73%보다 0.02%포인트 오른 수치다.

신용등급이 낮을 수록 시중 은행권의 마이너스통장의 대출 금리 격차는 더욱 심해 저신용자들의 신용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9월 기준 7~8등급에서 제주은행(9.69%), IBK기업은행(9.10%) 등이 9% 이상 넘는 금리를 기록했다. 9~10등급에서는 우리은행(13.53%), 신한은행(11.90%), DGB대구은행(11.04%) 등이 높은 마이너스대출 금리를 나타냈다.



hyjgogo@heraldcorp.com



사진1=은행연합회 제공

사진2=게티이미지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