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춥고 건조한 겨울철 악화되는 ‘건선’
-붉은 발진 위에 하얀 각질이 특징
-건선으로 병원 찾는 환자 계속 늘고 있어
-방치할 경우 건선성 관절염, 심장질환 등 합병증 초래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30대 직장인 A씨는 언젠가부터 붉은 반점에 하얀 각질이 팔다리에 생겨 누군가를 만나는 일이 조심스러워졌다. 목욕을 자주 하는데도 몸에 때를 안 민 것처럼 하얀 각질이 몸을 뒤덮어 손으로 문지를 때나 옷을 벗을 때 비듬처럼 후두둑 떨어져 당황한 기억이 한 두 번이 아니다. 여름철에는 덜하다가도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가을초입부터 추운 겨울이면 증상이 심해지는데 대부분의 겨울옷이 검정계열이다 보니 하얀 각질이 더 도드라져 창피를 당할까 의기소침해지기까지 한다.

A씨가 앓고 있는 질환은 피부과에서 ‘구진 인설성 질환’으로 분류하는 ‘건선(psoriasis)’이다. 은백색의 피부 각질(인설)로 덮인 붉은 반점(홍반)이 나타나는 것이 주요 증상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5년 ‘건선’으로 병원진료를 받은 환자는 16만6000여명에 달한다.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특히 20대에 최초 발생률이 높고 10대, 30대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건선은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기 때문에 보통 증상이 완화되면 다 나았다고 생각하고 방치하기 쉽다. 흔히 건선을 피부가 건조해서 생기는 단순 피부질환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많은데 건선은 환경적 자극과 유전적 요인이 연관된 면역학적 만성 전신 질환이다.

피부면역세포(T세포)의 이상 활동에 의해 염증유발물질이 피부의 각질 세포를 자극, 과도한 세포증식과 피부 염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주로 팔꿈치ㆍ무릎ㆍ엉덩이ㆍ머리 부분에 발생하며 손바닥ㆍ성기ㆍ정강이ㆍ손발톱 등에도 생길 수 있다.

초기 건선은 발진 위에 피부 각질이 새하얗게 덮이고 더 진행되면 발진이 생긴 피부가 두꺼워지고 발진들이 합쳐지면서 병변이 커진다. 더 악화되면 피부 병변뿐만 아니라 손가락과 발가락이 뻣뻣해지고 붓는 증상이 나타나는 건선성 관절염이나 척추염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증상이 심한 중등도 이상의 건선이거나 건선을 오래 앓을수록 관절염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또 관절염 외에도 심장ㆍ혈관질환이나 비만,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도 높고 우울증을 야기해 사회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가벼운 건선은 피부에 연고를 바르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나아지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경구 치료제를 쓰거나 광선치료를 받아야 한다. 생활습관 개선도 중요하다. 음주와 흡연을 피하고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유지해야 한다.

때를 심하게 밀면 피부가 자극을 받아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니 가볍게 씻어내는 것이 좋다. 정신적 스트레스도 건선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평온한 마음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박철종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피부과 교수는 “건선은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여 호전돼 보이다가도 중증 건선으로 진행할 경우 우울증은 물론 ‘건선성 관절염’, ‘협심증’ 등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며 “전문적인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는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